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쾌활한카멜레온280
쾌활한카멜레온280

아이가 너무 떼를 부리는데 동요하지 않는 게 좋을까요?

너무 떼를 쓰듯 울기 시작하면 그냥 무시하고 딴 짓 하거든요. 다 울고 마음 가라앉으면 엄마한테 다시

와서 왜 속상한지 말하라고 그러는데.. 이게 옳은건지 모르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너무 떼를 써서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아이의 이런 행동을 기다려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떼를 무시하는 방식은 때로 효과적일수 있습니다. 하지만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동요를 하지 않긴 보다는

    아이의 떼가 잠잠해지면 아이에게 다가가 아이를 데리고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떼를 부리며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떼를 부리면서 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은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매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거나 떼를 쓰지 않고 원하는 것을 말할 때는 칭찬해 주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해 주세요. 그엊ㅇ적인 피드백은 아이에게 좋은 습관을 만들도록 도와줍니다. 떼쓰는 상황이 발생할 때, 상황에 따라 다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는 이유가 주목을 받기 위한 것이라면, 가끔은 무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무시하는 것보다는 아이가 안정된 상태에서 다가가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울음을 그치고 마음이 가라앉은 후에 그 상황에 대해 이야기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