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너무 떼를 부리는데 동요하지 않는 게 좋을까요?
너무 떼를 쓰듯 울기 시작하면 그냥 무시하고 딴 짓 하거든요. 다 울고 마음 가라앉으면 엄마한테 다시
와서 왜 속상한지 말하라고 그러는데.. 이게 옳은건지 모르겠어요
아이가 너무 떼를 써서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아이의 이런 행동을 기다려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떼를 무시하는 방식은 때로 효과적일수 있습니다. 하지만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동요를 하지 않긴 보다는
아이의 떼가 잠잠해지면 아이에게 다가가 아이를 데리고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떼를 부리며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떼를 부리면서 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은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매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거나 떼를 쓰지 않고 원하는 것을 말할 때는 칭찬해 주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해 주세요. 그엊ㅇ적인 피드백은 아이에게 좋은 습관을 만들도록 도와줍니다. 떼쓰는 상황이 발생할 때, 상황에 따라 다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는 이유가 주목을 받기 위한 것이라면, 가끔은 무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무시하는 것보다는 아이가 안정된 상태에서 다가가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울음을 그치고 마음이 가라앉은 후에 그 상황에 대해 이야기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