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

아이가 3살인데도 말을 잘못하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아이가 3살인데 말이 많이 어눌하고 소통이 아직안되는것같은데 문제가 없을까요? 아니면 언어치료 선생님에게 언어치료를 따로 받아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3살이면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조금 더 기다려 셔도 됩니다.집에서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해주시고 단어놀이,문장 읽어주기,아이가 하는 말을 부모님이 정확하게 다시 말해주기등으로 언어확장을 위해 노력해주세요.기다리시기가 힘드시면 언어발달 센터를 이용하셔서 상담을 받아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아이의 발달 상황을 부모님께서 아시면 어떤 방향으로 아이를 도와줄건지에 대한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발육시기에 맞춰 조금이라도 늦으면

      부모님들은 애를 태우시고 걱정을 하십니다.

      일단 소아과 의사선생님과 상담해 보시고

      아이들의 성장속도나 말하기도 각각 다르게

      나타나니까 조금 더 기다려 보셔도 될듯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는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로 나뉩니다.

      흔히 어떤 자극을 줬을 때 그것을 이해한다면 수용언어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3세라는 점을 감안할 때 언어 자극을 촉진시켜주면서 지켜보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놀이시간에 동요를 들려주고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대화를 나누고 책을 읽어주는 것이 언어 자극을 촉진시키는 활동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좀 더 자랐는데 언어지연이나 발음상 문제가 있다면 그 때는 발달센터에 문의해서 적절한 지원을 해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 3세 이후가 되면 아이의 언어이해력은 일상생활에서 어른들이 하는 이야기를 거의 다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을 합니다.

      하지만 언어표현력은 아이들마다 차이가 심하여 발음이 잘 안 되는 아이도 있고, 단어로는 말을 하지만 문장으로는 말을 하기가 어려운 아이도 있습니다.


      유아기의 지능은 언어이해력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언어이해력이 정상범위에 속한다면 말하기가 늦어진다 해도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며 최소한 48개월 정도까지는 말이 늦는 아이에게 운동성이 발달하고 스스로 발음을 연습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줘도 좋습니다. 만약 생후 48개월 이후에도 문장으로 말을 하기 힘들고 발음에 지연이 심해서 알아듣기 힘들며 아이가 심리적으로 위축된다면 언어치료를 통해서 도움을 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세면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로 수시로 책을 읽어주거나 아이의 행동을 언어로 표현해주는 등 언어적인 자극을 주시는 것이 좋고 그래도 말이 잘 늘지 않는다면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의 언어 발달 때문에 고민이신데요. 세살 아이는 두 단어를 이용하여 제법 그럴듯 하게 말 할 수 있는 시기로 서서히 서너 개 단어를 이용해 말합니다. 아이의 경험을 엄마 아빠에게 바로 말하고 눈, 코,입 등의 각 신체 부위의 기능도 알 수 있게 됩니다 30개월이 되면 세단어로 결합된 의무문도 사용하며 부사와 형용사를 세단어 문장에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25개월에서 36개월은 언어가 폭발적으로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대뇌의 발달은 언어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대뇌의 신경세포들이 바로 이 무렵에 서로를 활발하게 연결하는 구조를 만들며 이에 따라 단어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2-3세에 말이 늦더라도 부모가 하는 말을 알아듣는 아이들 중에서는 4세가 지나면서 급격히 언어 발달이 빨라지는 사례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도 발달이 되지 않는다면 언어 발달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원인을 찾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예후가 좋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세면 보통 문장을 말하더라도 어눌하고 짧게 말하고는 합니다. 어느정도 수준인지 알 수 없겠지만 언어 치료를 받기보다는 아이에게 언어자극을 주고자 노력을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선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코로나시대이후로 언어발달이 늦은 아이들이 자주보입니다

      말문이 늦게 갑자기 터지는 아이들도 많이 있습니다

      만36개월이 지나도 걱정되실 정도라면 언어치료센터를 방문하여 정확한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을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3살임에도 불구하고

      말이 어눌하거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언어 지연 등이 있을 가능성이 크고 한번 치료를

      받기 전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3살이 되었는데도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상당히 언어가 느린 것이며 아이의 상태에 대하여 검사를 받고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원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살아이가 말을 또박또박 너무 잘하는게 오히려 이상한 발달수준입니다.

      대부분의 3살정도의 수준은 어눌하고 불분명한 발음을 보입니다. 걱정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