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훈련도감이 임진왜란 때 설치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훈련도감이라는 새로운 군사기관이 설치되었는데요. 새로이 설치된 배경과 임진왜란에서 훈련도감이 한 기능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조선은 기존의 군사 제도로는 일본군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당시 조선의 군대는 평상시에는 해산되고, 전시가 되어야 모집되는 의용 중심의 지방 군대(속오군)였으며, 무기의 활용도나 전투 훈련도 부족한 상태였습니다. 특히 조총을 주력 무기로 사용하는 일본군에 비해 조선군은 실전 경험이 적고 조직적 훈련이 부족하여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따라 선조 정부는 전란 중에도 전투에 능한 정예 병력을 상시적으로 유지하고, 조총 등 신식 무기에 익숙한 군인을 양성할 필요성을 절감하였습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임진왜란 직후 1593년(선조 26년), 삼수병(포수, 사수, 살수)으로 구성된 상비군 조직인 훈련도감(訓鍊都監)이 설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