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차멀미보다 배멀미가 심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넉넉한반달곰160입니다.

차멀미보다 배멀미가 심한 이유가 뭔가요?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평소 움직임과 다른 불규칙한 움직임에 대한 거부 반응으로 멀미가 나타납니다.

      움직임에 따라 귀 안의 반고리관에 림프액에 전달되는데,

      비정상적으로 진동하게되면 뇌가 귀로부터 균형을 잡아라는 과도한 자극을 받게 되어

      이것이 구토로 이어집니다.

      즉, 귀와 관련된 기관이 예민할수록 멀미가 잘 나타납니다.

      차멀미가 더 심한것은 그냥 개인차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에는 5가지 감각이 있습니다.
      여자들은 6감이 있다고 우기기도 합니다.

      이 5가지 감각을 이용해서 자신의 몸상태를 뇌가 파악하게 됩니다.
      몸이 기울었다든지 하는 상태요.

      차를 타게되면 시각과 귀 속의 세반고리관의 감각이 따로 놀게됩니다.
      눈으로는 측면으로 이동하는데 세반고리관에선 몸이 뒤로 기운다고
      보고를 하거나하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뇌가 정보를 분석하는데 오류가 생기고 멀미가 납니다.

      운전수의 경우 몸의 움직임과 시각 정보가 일치해서 오류가 적고, 멀미도 안합니다.
      승객은 관성에 의해 몸이 쏠리면서 시각정보가 세반고리관의 촉각정보와
      따로 놀면서 멀미가 납니다.
      운전을 거칠게 할수록 이런 현상이 현저해집니다.

      예를들어 좌회전시 운전수는 몸을 왼쪽으로 기울여 시각과 평형감각이 일치하는데
      승객은 우측으로 쏠리면서 시각과 평행감각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런 현상은 차에서 책을 읽을때 더 확연히 일어납니다.
      눈으로는 거의 정지해 있는데 평형 감각은 움직이고 있다고 보고하니
      뇌가 대 혼란을 일으켜 멀미가 두배(?)로 납니다.

      차를 뒤로 보고 탈때 멀미가 심한 것 역시 마찬가지 이유입니다.
      눈 감고 잠을 자면 멀미를 안하는 것도 이해가 되죠?

      멀미의 하이라이트는 뭐니뭐니해도 배멀미인데..
      눈으로는 방안에 얌전히 앉아있습니다. 하지만 세반고리관의 촉각은 중력과 관성에 의해
      미친듯이 자극을 받습니다.
      멀미에 약한 사람은 배를 타면...살려달라고 그럽니다.^^

      반대의 경우도 성립합니다.
      tv나 대형 영사기에서 앞에서 몸은 가만히 있는데 시각만 움직여질 경우에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가 그것입니다. 눈앞에서 물체를 굉장히 빨리 움직이면 어지럽죠?^^
      하지만 이런 상태는 많은 경험이 있기 때문에 멀미가 덜하답니다.
      뇌가 적응을 한 것이죠.

      멀미는 개인차가 있어서 정도가 심하고 덜하고의 차이가 있고,
      개인적으로도 몸상태에 따라 편차가 있습니다.

      놀이공원에서 놀이 기구를 탈때 긴장하거나 공포심이 생기면 감각이 차단되기 때문에
      멀미가 덜하다가 내려서 긴장이 풀리면 그때 어지러운 느낌이 생기는 경우처럼 정신
      상태에 따라서도 차이가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