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치와 흰머리의 차이 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있는데
새치와 흰머리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둘다 하얗게 나는 머리 같은데
어떤게 새치고 어떤게 흰머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새치는 노화에 의한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나 유전에 의해 나는것입니다 흰머리는 노화에 의한것이구요
새치와 흰머리 의학적으로 다르지 않습니다.
의료인이 아닌 사람들이 젊어서 나는 흰머리를 새치라고 표현하시는것 같은데 의학적으로는 차이가 없습니다.
아하(a-ha) 지식인에서 활동하는 피부과전문의입니다.
새치와 흰머리는 의학적으로 동일합니다.
흰머리는 보통 노화현상인데, 이른나이에 흰머리가 난 것을 새치라고 얘기하는 것일 뿐입니다.
검버섯이 이른나이에 생길 수도 있듯이 흰머리도 이른 나이에 생길수 있습니다.
피부에 검은 색소는 표피의 멜라닌 세포에서 분비되는 멜라닌색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나이가 들수록 이런 멜라닌 세포의 기능과 숫자가 감소하게 됩니다. 두피의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에도 멜라닌 세포가 많은데, 노화가 되면서 이런 기능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모낭의 멜라닌 세포가 파괴되면 검은색 색소가 사라지면서 흰머리가 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도움이 된 답변에 좋아요나 추천 눌러주시면 양질의 답변을 드리는데 큰 힘이 됩니다.
새치는 검은 머리카락 사이사이에 하얗게 난 머리카락을 말합니다. 주로 유전적 요인이나 노화로 인해 멜라닌 색소 형성세포가 사라지면서 발생합니다. 대개 젊은 층에서도 스트레스나 영양결핍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 흰머리는 노화가 진행되어 머리카락 전체가 하얗게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모낭세포의 멜라닌 생성 기능이 떨어져 검은색, 갈색 등의 색소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흰머리는 주로 노년층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새치와 흰머리 모두 멜라닌 색소와 연관이 있지만, 연령대와 분포 양상이 다르다는 점이 주된 차이점입니다. 새치나 흰머리가 많이 생겼다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관리 방법에 대해 의논해보시길 권합니다.
나이에 따라 구분하지만 결국 같은 의미인 것은 사실입니다.
비교적 이른 나이에 발생하는 경우, 새치라고 하며 멜라닌 색소가
선천적으로 부족하거나 단백질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나이가 들은 40대 이후에는 흰머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의학적으로는 전혀 차이가 없습니다.
일상적으로는 약간의 의미차이가 있습니다. 새치와 흰머리는 모두 하얗게 나는 머리카락을 의미하지만,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맥락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새치"는 주로 젊은 나이에 나타나는 흰 머리카락을 지칭하는 용어로, 아직 나이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흰머리가 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새치는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영양 부족, 질병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흰머리"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흰 머리카락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노화로 인해 멜라닌 생성이 줄어들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