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반가운말똥구리56
반가운말똥구리5623.03.22

장기적으로 ‘화폐 가치’가 하락을 한다고 생각을 하면, 대출 상환 방식의 장단점은?

대출 상환 방식에 있어서 몇가지 경우가 있잖아요.

제 생각으로는 앞으로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는 정도의 차이믄 있겠으나, 조금씩이라도 하락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의 다른 개념으로 가치 하락이 맞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이런 생각과 조건 하에는 상환 방식에 대해서 각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을 해야 할까요?


전제 조건이 화폐 가치의 하락이 갈수록 심화될 것이며,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 화폐 가치의 하락'인 것이죠. 이런 경우에서의 20-30년 이상씩 장기적으로 상환할 때에 장단점이 극명하게 다를까요?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 대출일부터 만기일까지 매월 상환하는 원금과 이자의 합계가 동일

체감식(원금균등) 분할상환 : 대출일부터 만기일까지 매월 동일한 원금이 상환되고 이자는 대출잔액에 따라 계산되어, 매월 상환하는 원금과 이자의 합계가 감소


체증식 분할상환 : 대출일부터 만기일까지 매월 상환하는 원금과 이자의 합계가 증가

(채무자가 만 40세 미만이고 공사가 사전심사하는 경우에만 가능, 원금상환이 시작되는 고정금리기간 중에만 적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 가치의 하락이 심화될 것으로 전제하면, 상환 기간이 길어질수록 상환 방법의 장단점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장기간에 걸쳐 상환할 경우 고정금리 대출보다 변동금리 대출이 이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변동금리 대출의 경우, 금리가 인상되어 상환액이 높아져도, 통화 가치 하락에 따라 원금의 가치가 하락하면 상환액이 실질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고정금리 대출의 경우에는 상환액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 가치의 하락으로 인해 상환액이 실질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환 기간이 길어질수록, 통화 가치 하락의 영향을 고려하여 변동금리 대출과 고정금리 대출 중 어떤 상환 방법을 선택해야 할지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순하게 화폐의 가치가 장기적으로 하락하게 된다는 것을 가정하게 된다면 가장 초기에 상환하는 화폐의 가치가 가장 큰 것을 의미하기에 초기에는 상환을 적게 하고 화폐의 가치가 하락이 가장 극심한 마지막 상환금액이 큰것이 유리합니다. 이러한 상환방식 구조는 '체증식 분할상환'이며, 초기에 상환하는 금액이 작고 시간이 갈수록 상환하는 금액이 증가하는 방식의 대출상환 구조입니다.

    다만 체증식 분할상환구조의 단점이라고 한다면 '원리금균등'과 '원금균등(체증식)' 상환방식에 비해서 대출을 받는 기간동안의 '총이자금액'이 가장 많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한다고 가정할 경우는 만기일시상환이 가장 유리한 방법이고, 그다음이 채증식분할상환, 그다음이 바로 원리금균등상환 순으로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극명하게 다르지는 않으나

    아무래도 인플레이션을 신경쓰신다면

    현재 이자를 최대한 적게 납부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