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너무 말을 듣지 않는데 어쩌죠?
첫째 아이가 8살인데 너무 말을 듣지 않습니다. 너무 스트레스예요. 같은 소리를 몇 번 하는지 모르겠어요. 다른 아이들도 그런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아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다만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하는게 좋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같은 말을 반복해서 혼내기 보다는 행동에 대한 결과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말보다는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아이가 스스로 깨닫고 고칠 수 있도록 합니다.
아이의 올바른 행동에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아이는 현재 자신이 어떠한 이유로 부모님에게 혼이 나는지, 자기 자신이 무엇을 잘못을 했는지 이에 대한 부분의
이해의 인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원래 8살이라는 나이가 말을 잘 안 들을 수 있는 나이입니다. 특히나 같은 말을 몇 번해도 겨우 이해하거나, 아는 것과 하는 것이 달라서 하는 데에 시간이 걸릴 수도 있어요. 아이가 대놓고 반항하거나, 하는 게 아니라면 그래도 계속 설명을 해 주시고, 여러 번 설명하는 걸 처음부터 기본으로 생각하고 감정적으로 접근하지 않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아이가 계속해서 말을 듣지 않는다면 일정한 제재(좋아하는 활동 시간 줄이기 등)를 가해서 아이가 문제를 인지해 나갈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시기 아이들이 말을 잘 듣지 않는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때 감정을 인정하고 아이 입장에서 이해하며 대화하려는 태도를 갖춰야 합니다. 동시에 규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말을 잘 듣지 않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8살은 자기 주장이 강해지고 독립적인 성향이 나타나는 시기입니다. 다른 부모들도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감정을 이해하고 대화하려는 태도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