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커갈수록 뺀질뺀질 엄마, 아빠(부모들)의 말을 잘 따르지 않으려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치원생 아이가 점점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게될 때 부모로써 무기력감이 들게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아이가 부모 이야기들을 효과적으로 듣게 하려면 어떤식으로 접근해야 할까요?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훈육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다만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와 같은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가 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란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신만의 생각과 의견을 가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부모님과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루 일과 중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가족 간의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의 관심사와 고민거리를 공유하고, 서로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것은 소통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자녀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고,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해보세요.
부모님도 인간이기 때문에 때로는 실수를 하거나 잘못을 저지르기도 합니다. 이때 솔직하게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이 자녀와의 신뢰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녀의 행동이나 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주는 것은 자존감을 높이고 동기부여를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칭찬과 격려를 적절히 섞어가며 말해주세요.
자녀와의 규칙을 설정할 때는 상호 합의하에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규칙을 어겼을 때는 적절한 처벌을 부과하되,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합니다.위의 방법들을 참고하여 자녀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이끌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치원 시기의 아이들은 독립심이 조금씩 강해지면서 부모의 말을 따르지 않으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이럴 때에는 명확하면서 일관된 규칙들을 세우고, 그 규칙을 지키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는 아이와의 대화에서 긍정적이고 명확한 어조를 유지하고, 아이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세요. 또한, 적절한 요소요소의 칭찬과 보상을 통해 아이의 올바른 행동을 강화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일관성 있게 접근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커갈수록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자아가 성립이 되었고, 자기주장이 점점 강해졌기 때문 입니다.
훈육은 만3세 부터 보통 시작을 합니다.
옛말에 이런 속담이 있습니다. 세 살 버릇은 여든까지 간다 라는 속담이 있어요.
이는 어릴 적에 잘못된 행동이나 언행을 바로 잡아주지 않는다면 습관이 되어버린다 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말 인데요.
아이의 잘못된 행동과 언행은 아이가 어릴 때 부터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바로 잡아주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현재 아이가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는다면 아이를 부모님 앞에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엄마.아빠의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엄마.아빠의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 눈높이에 맞게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가정 내에 규칙을 정하고, 일관성 있는 훈육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부모님도 일관성 있게 규칙을 지켜서 모범을 보여 주셔야 합니다.
스스로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을 하도록 점점 유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자신의 의견을 푠현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하고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게 하세요. 그리고 부모로서의 권위와 규칙은 명화히 유지하되 아이에게 선택의 자유와 책임감을 부여하는 방법도 고려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커갈수록 부모의 말을 잘 따르지 않으려 할때는 단호하면서도 공감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왜 반항적인 행동을 보이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