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유동성에 관해서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요즘 같이 장이 좋을 때는 현금 유동성을 어느 정도 보유해야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코인과 주식을 투자하고 있는 사람 중 한 명입니다.
매번 이런 고민을 하는데요!
이러한 고민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금 유동성에 관해서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요즘 같이 장이 좋을 때는 현금 유동성을 어느 정도 보유해야 적당할까요?
전문가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금 유동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주식 장이 좋기 때문에 현금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기 보다는
더 오를 종목에 투자를 늘리는 것이
더 높은 수익을 받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 유동성은 시장 불확실성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전체 자산의 20~30%를 권장합니다. 상승장에서도 돌발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투자 기회를 잡으려면 현금 비중을 일정하게 확보하는 게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장에 변돋성이 크다는 말은 거래량이 많은것이라 물리더라도 또는 변동성이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걱정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다만 현금유동성을 일정이상 확보를 한다고 한다면조정중에 주가하락에 따른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이는 상대적으로 현금유동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물타기 등으로 주가를 낮출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약간 마지막 불꽃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국장의 경우 0%였다가 10%정도만 담고 짧게 볼 생각으로 진입하였습니다.
미장은 약 50%정도이고요.
현금은 40% 보유입니다.
여기서 10% 정도는 더 들어갈 생각이지만 나머지는 미국 금리인하 시점에서 어떤 변동성이 나타날지 모르기에
다음 주 정도에 미장에서 어느 정도는 정리하여 현금 보유를 70%정도로 할 예정입니다.
하락장이 온다면 지켜보다 진입하거나 폭등장이 오면 그 다음 숏베팅을 전략으로 삼고 있어서
꼭 따라하라는 건 아니지만 현금보유액을 50%정도는 유지하면서 다음주 19일 금리인하 때를 보고 들어가시는 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의 자산 규모나 현금 흐름, 투자 성향, 규모에 따라 다 다르지만 저같은 경우 주식 투자 규모가 2천만원 정도이기 때문에 500만원정도의 현금을 가지고 움직입니다. 일반적으로 본인 투자 규모의 1/4 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주식코인 투자한지 꽤 오래되었지만 장이 좋건 안좋건 현금 비중 20-30프로는 항상 유지 합니다
풀시드 투자는 장이 좋건 안 좋건 굉장히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게 만들더라구요 그래서 현금 비중은 반드시 유지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원칙을 세우고 지키는 것입니다. 단순히 '장이 좋으니까' 혹은 '장이 나쁘니까'라는 이유로 현금 비중을 결정하기보다는,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위험 수준과 투자 목표에 맞춰 현금 비중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기 투자를 목표로 한다면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자산 배분 원칙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는 현금 비중을 낮추고 자산 비중을 높일 수 있지만, 보수적인 성향의 투자자는 현금 비중을 높게 유지하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판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전체 투자 자산의 10%~30% 수준으로 현금이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는 것을 권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시장이 활황일 때 적정 현금 유동성 확보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우선, 시장 상황과 무관하게 최소 3~6개월치 생활비에 해당하는 비상 자금을 항상 안전하게 보유하면 좋습니다. 또한,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해서 여유 현금(가용 자산의 10%)을 일정 부분 확보하는 것이 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