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클라우드 앱 삭제 캐시데이터 암호화 문의
메가클라우드 앱이 엔드 투 엔드 암호화(E2EE)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한다고 들었는데,
애초에 앱 삭제후 캐시파일이 삭제된다고 들었는데, 많이 남아있을까요?
삭제후 캐시파일도 엔드 투 엔드 암호화(E2EE) 방식으로 암호화 되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메가클라우드 앱은 엔드 투 엔드 암호화(E2EE)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앱 삭제 후 일반적으로 캐시 파일은 삭제되지만, 일부 잔여 데이터가 남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캐시 데이터도 E2EE로 암호화되어 있어, 앱 외부에서 접근한다고 해도 의미 있는 정보를 얻기 어렵습니다. E2EE는 파일이 클라우드를 통해 전송될 때부터 사용자의 장치에서만 해독 가능하도록 암호화 처리하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메가클라우드 앱에서 데이터를 삭젝한 후 캐시파일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캐시파일은 일반적으로 암호화되지 않거나 암호화되더라도 앱 삭제 후 완전히 삭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E2EE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에 적용되므로, 캐시파일은 해당 방식의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메가클라우드 앱은 엔드 투 엔드 암호화(E2EE)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앱을 삭제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해당 앱과 관련된 캐시 파일들도 함께 삭제됩니다. 다만, 일부 경우에는 운영체제나 앱의 특성에 따라 캐시 파일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남아있는 캐시 파일은 보통 앱의 임시 데이터로, 이미 암호화된 파일들이 캐시에 복사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본래의 E2EE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완벽한 제거를 원하신다면, 파일 탐색기를 통해 기기 내부의 메가클라우드 관련 폴더들을 수동으로 점검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보안이 걱정된다면 디바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나 보안 앱을 이용하여 캐시나 잔여 파일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데이터 안전을 중요시 여기는 태도는 매우 긍정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삭제된 후의 캐시 파일이 엔드 투 엔드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E2EE는 전송 중인 데이터에 적용되며, 삭제된 후 남아 잇는 캐시 데이터는 다른 방식으로 저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메가클라우드 앱을 삭제한 후에도 일부 캐시 데이터가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 데이터의 암호화 상태는 확실치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