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근면한하마253
근면한하마25323.10.30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가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국제 외환 시장에서 국제 간의 결제나 금융 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를 기축통화라고 합니다. 그런데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가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 1, 2차 세계대전등을 통하여

    강대국으로 부상, 사우디 아라비아와 원유의 결제대금을

    달러로 하기로 하면서 기축통화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과거 미국이 세계전쟁을 치르면서 막대한 부를 쌓게 되었고 그 중에서 세계 70%의 금을 차지하면서 이를 통해서 금본위제도를 실시하게 되었어요. 당시에는 국가들의 화폐에대한 신뢰도는 부족했지만 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기 때문에 미국의 달러가 금을 교환할 수 있는 매개체로 여겨지면서 전 세계에 달러가 유통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서 달러가 기축통화로 자리잡을 수 있게 되었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는 당대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부문 등 거의 전분야에 압도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국가가 발행하는 화폐입니다. 2차대전 전후 전쟁으로 쑥대밭이 된 구대륙 대비 미국은 하와이를 제외한 본토 내에서 전쟁을 치르지 않았습니다. 온전히 남아 있는 산업 인프라, 풍부한 노동력, 자본 등이 어우러져 최강국으로 발돋움 하면서 미달러가 브레턴 우즈 체제에서 금과 태환 되며 기축 통화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