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제중원의 설립자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원인 제중원을 설립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는 누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으로 설립 당시에는 광혜원이었습니다. 광혜원이 제중원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설립을 건의한 사람들은 미국 출신의 의사와 알렌이었으며, 백정의 아들에서 제중원의 최초 한국 의사로 진료를 한 사람은 황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호러스 뉴턴 알렌입니다.

      미국 선교 의사 이자 외교관 입니다.

      광혜원(제중원) 설립자이자

      동시에 하와이 노동자 모집 공고자이기도 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종은 알렌의 서양식 병원건립 건의를 받아들여 1885년 2월 29일(음력)[4월 10일(양력)] 광혜원(House of Extended Grace)을 설치하였는데,

      이것이 곧 한성 재동주1에 설치된

      국립병원이었다.


      건물은 홍영식(洪英植)의 집(지금의 헌법재판소 자리)을 쓰게 하였는데,

      광혜원이라는 명칭은 2주일 만에

      백지화되고, 그 해 3월 12일(음력)

      [4월 26일(양력)]에 새로 제중원(濟衆院: House of Universal Helpfulness)이라는 이름을 붙여 개원 당시부터

      소급 적용하였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5 년 미국선교사 알렌으로 하여금광해원이 소개 되었습니다.

      그런데 설립2주만에 제중원으로 바꾸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84년 갑신정변때 명성왕후의 측근 민영익이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데, 이때 이것을 치료해준 의사가 외국인 선교사 알렌이었습니다. 알렌은 고종에게 서양식 병원 설립을 건의 드렸고, 그것을 받아 들여 1885년 광혜원을 설립하게 됩니다.

      후에 고종이 '대중을 구제한다'는 의미의 '제중원'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여, 광혜원을 '제중원'으로 개명하게 됩니다.

      연세의료원 측에서는 알렌이 고종에게 건의 하여 '광혜원'이 설립되었다고 주장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고종이 능동적으로 설립한 기관이라는 입장을 펼친다고 하네요.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는 '서재필'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광혜원이 제중원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설립을 건의한 사람들은 미국 출신의 의사와 알렌이었다고 합니다.

      백정의 아들에서 제중원의 최초 한국 의사로 진료를 한 사람은 황정입니다.

      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으로 설립 당시에는 광혜원(廣惠院)이었다. 개원 13일만인 4월 23일 고종은 '대중(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濟衆院)이란 이름을 하사하여, '광혜원'의 이름이 '제중원'으로 바뀌게 된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이후 국가에 압류된 홍영식의 집을 수리하여 부지로 사용했고, 당시 선교사 겸 의사였던 호러스 뉴턴 알렌을 고용하여 병원을 운영하였다. 이후 알렌 말고도 다른 의사들(주로 미국 출신)을 고용하게 된다. 연세의료원 측에서는 알렌이 고종에게 건의하여 광혜원을 설립했다고 주장하며,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고종이 능동적으로 설립한 기관이라는 입장을 펼친다.

      출처: 나무위키 제중원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중원은 의료 선교사 알렌이 처음으로 설립을 하였고 1885년에

      고종의 후원으로 설립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중원 ( 濟 衆 院 ) 1885년(고종 22) 개원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입니다. 처음 명칭은 국립 광혜원(廣惠院)이였다고 합니다. 기록에 따르면 한국인 최초의 양의(洋醫)는 《독립신문》으로 유명한 서재필이라고 합니다.

      http://snuh.org/board/B001/view.do?bbs_no=53&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

      그가 한국에서 한국인에게 의술을 베푼 적도 없었고, 스스로 의사임을 내세운 적도 없었기에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는 갑신정변 실패 후 미국에 망명했고, 1892년 콜럼비안의과대학(지금의 조지워싱턴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한국인 최초로 의사가 된 것이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중원을 설립한 사람은 의료선교사 알렌 입니다.

      이 국립공원의 당초 명칭은 광혜원 있었으나 고종과 조선정부는 보름한테 이를 무효화 하고 제중원이라 명명 하였습니다.

      충북 음성군의 진천군 경계지역에 관혜원이 라는 지명이 있어서 혼동을 피하고자 했던 것이라고 하는데요.

      제중은 논어에 나오는 박시제중의 준말로 널리 베풀어 백성을 구제한다 라는 뜻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제중원의 설립자는 훈구(訓溥) 이라는 인물입니다.

      훈구는 조선 성종 10년(1479년)에 제중원을 설립하였습니다. 제중원은 당시의 국내외 정치, 경제, 사회 등의 문제를 분석하여 국가 재정과 경제를 관리하고, 농업과 수산업 발전, 세금 정책, 지방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언을 제공하였습니다.

      훈구는 제중원을 설립하고, 제중원에서 수행하는 업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조선시대의 경제발전과 국가의 안정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가 좋은 평판을 얻고 있던 중, 삼정도(三正道)와의 갈등으로 인해 훈구는 연산군 3년(1491년)에 군사적인 이유로 처형되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업적은 제중원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으로 설립 당시에는 광혜원(廣惠院)이었다고 합니다. 개원 13일만인 4월 23일 고종은 '대중(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濟衆院)이란 이름을 하사하여, '광혜원'의 이름이 '제중원'으로 바뀌게 된다고 합니다.

    • 제중원은 1885년 미국 선교사 알렌이 설립하였다.제중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에서 시작되었다.그후 제중원으로 이름울 바꾼 후 1904년 세브란스 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해 오늘까지 이르고 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으로 설립 당시에는 광혜원이었고 개원 13일 만인 4월 23일 고종은 대중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이란 이름을 하사하여 제중원으로 불렸습니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이후 국가에 압류된 홍영식의 집을 수리하여 부지로 사용했고, 당시 선교사 겸 의사였던 호러스 뉴턴 알렌을 고용하여 병원을 운영했으며 다른 의사들도 고용하게 됩니다.

      연세의료원 측에서는 알렌이 고종에게 건의하여 광혜원을 설립했다고 주장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고종이 능동적으로 설립한 기관이라는 입장입니다.

      한국인 최초 서양의사는 박서양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