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수 계산 2주택인가요? 3주택인가요?
주택수 어떻게 적용하는게 맞는걸까요?
현재 종전주택을 19년도 취득 후 신규주택을 24년 11월에 분양권을 취득하여 일시적1가구2주택인 상태에서 종전주택을 매도하고 재개발 입주권을 매수하려는 계획입니다.
이때 종전주택 매도 계약일과 재개발 입주권 매수 계약일이 같으면 3주택인가요, 2주택인가요?
혹은 매도 계약일 다음날 매수 계약을 하면 확실한 2주택으로 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수 결정 시기는 매도나 매수의 경우 잔금일자 와 등기접수일자를 비교를 해서 빠른 날을 기준으로 삼게 됩니다.
즉 위의 경우 계약 날짜보다는 잔금일자와 등기접수일자로 추산을 해 보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일이 같더라도 잔금일(취득일)이 다르면 3주택으로 보지 않습니다
실제 소유권이 넘어가는 시점(잔금일, 등기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다만 매도·매수 계약일이 동일하면 세무서에서 3주택으로 오해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실무적으로는 매도 계약 잔금일 이전에 매수 계약을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입주권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매매 잔금 지급일이 기산일이되고, 기존 주택을 매도하는 경우에는 잔금일이나 등기일 중에서 빠른날 기준으로 주택수에 잡히게 됩니다. 따라서 계약일이아니라 기존주택의 잔금일(또는 등기일)과 입주권 잔금일을 비교해 보셔야 주택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종전주택 매도 계약일 다음 날 재개발 입주권 매수 계약을 하면 명확히 2주택 상태로 보아 일시적 2주택 비과세 등 특례를 적용받기 용이합니다.
매도 계약일과 매수 계약일 사이에 분명한 구분이 있으면 2주택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