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가입 후 고지 의무 위반을 확인한 경우
제목 그대로 실손보험 가입 후 고지 의무 위반을 확인한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20년 1월 1일-고혈압 진단
24년 3월-고혈압을 고지하지 않고 실손보험 가입(고혈압은 고지 의무가 5년 이내기에, 의무 위반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20년 1월부터 24년 3월까지 별다른 고혈압에 대한 진단 및 치료는 없습니다)
25년 1월 5일-고혈압과 상관 없는 질병 치료
위 경우 고혈압이라는 것에 대한 고지 의무는 어겼지만, 진료기록 열람은 5년까지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 보험사에서 고지 의무를 어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나요? 즉, 고혈압 치료 기록을 확인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기록은 최대 10년까지 열람 가능하며, 보험사에서 고지 의무 위반을 조사할 때 기록 열람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관련 기록이 확인되면 고지 의무 위반으로 계약 해지나 보험금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기록은 최장 10년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병원내역 확인이 가능하다면 진단내역 확인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고혈압진단으로 약을 복용했다면 위반이 됩니다 진단만 받고 그후 약을 복용하지 않고 검사를 하지 않았다면 그리고 지금도 고혈압으로 인한 검사나 약을 복용하지 않는다면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위 경우 고혈압이라는 것에 대한 고지 의무는 어겼지만, 진료기록 열람은 5년까지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 우선 진료기록 열람은 10년까지 가능하니다.
이 경우 보험사에서 고지 의무를 어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나요? 즉, 고혈압 치료 기록을 확인할 수 있나요?
: 이에 대해서는 보험사에서 현장심사를 하지 않고 보험금을 지급한다면 알수는 없으나,
현장심사를 나오게 된다면, 가입한지 얼마안되었기 때문에 고지의무위반여부에 대한 조사를 하게 될 것이고,
이때 보험계약자의 동의를 받아 의무기록등을 열람하게 되면 체크가 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