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나라 부모들은 공부만 하라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붉은날다람쥐293근희입니다.
왜 우리아라 부모님들은 자식들에게 공부만 하라고 할까요.
왜 자식에 적성과 하고싶은것에 눈을 돌리지 못하는가 궁금하여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식들에게 공부를 강요하는 경우에는 부모들이 어릴 적 자신의 꿈을 펼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아이에게 투영하며 바라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걸 버려야 합니다. 아이들은 아이들의 인생을 사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모들의 바램을 아이에게 투영시켜서는 안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나라 부모님들이 공부만 하라고 하는것은 아무래도 공부를 잘하면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많아지기 때문이라고 보입니다. 공부를 하지 않으면 아무래도 몸을 쓰는 일만 하게 될 것이고 공부를 하면 자기가 하고 싶은것을 골라서 할 수 있습니다. 수입도 아무래도 공부를 하는쪽이 더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학창시절에 기본적인 공부는 해둬야 이것을 할지 말지도 결정을 할 수 있겠습니다. 부모님들이 겪은 힘듬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하는것이기 때문에 아이들은 이를 잘 따라 주시면 좋을것 같긴합니다만 이것도 아이의 성향에 따라서 다를것으로 생각듭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리나라 부모님은 육이오 전쟁 이후 성공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 공부였고 공부만이 살길이라고 생각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공부를 강조하는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직 까지 우리나라가 학벌 우선 주의,
그리고 학벌로 인해 취업 되는 문화가 남아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예전보다는 대한 민국 문화가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한국 사회에서 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의 부모님들께서는 자녀들이 좋은 대학에 진학하고, 안정적인 직업을 갖기를 원하시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공부만을 강요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든 부모님들께서 그렇다는 것이 아닙니다. 일부 부모님들은 자신만의 가치관과 철학으로 자녀들을 양육하며, 자녀들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그러니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개인의 성향이나 경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단순히 문화적 특성으로만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청소년들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거나, 시위를 통해 자신들의 의견을 표현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변화해가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라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리나라 부모님들이 사교육에 열정적이고 공부만 강요하는 이유는 아이의 미래를 위함도 있지만 자기 자신이 하지 못한 것을 대리만족을 하기 위해서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하고 사교육을 시키는 경향이 있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무엇을 할 때 행복해 하고, 즐거워하고, 재미를 느끼는지를 파악하여 아이의 재능을 살려주는 것이 좋은데요.
현실은 그렇지가 않지요.
아이 공부는 부모님의 욕심대로 강요하여 시킨다면 아이의 학습의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고, 아이의 성격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이의 원하고 바라는 것을 시켜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