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보통은기발한당나귀
보통은기발한당나귀

항생제를 남용하면 내성이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3

감기나 감염 때 항생제를 자주 쓰면 내성이 생긴다고 들었는데, 세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생물학적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내성균은 어떻게 생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은 항생제 표적부위 항생제 배출 항생제 불활성화 등이 있는데 이러한 저항 메커니즘이 발생 되는 이유는 약물 오남용으로 인한 돌연변이 발생으로 생성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상우 약사입니다.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면 일부 세균이 유전적 변이를 통해 항생제에 저항하는 성질을 획득합니다. 이 내성 세균만 살아남아 증식하면서 내성균이 증가합니다. 변이 외에도 유전자 전달(플라스미드 교환)로 다른 세균에게 내성 유전자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결국 약이 듣지 않는 균이 점점 늘어나는 것이 내성의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길병철 약사입니다.

    내성균이 생기는 원리는 아주 다양합니다.

    항생제를 투여하면, 항생제에 저항성이 있는 균들만 남게 되며,

    그 소수의 저항균은 계속 자라남아 증식하게 됩니다. 이런 매커니즘을 선택 압력이라고 합니다.

    또한 세균이 증식하면서 돌연변이가 생기며,

    우연히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는 돌연변이가 생기게 됩니다.

    세균끼리 유전자(DNA)를 주고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주고 받으며, 항생제 내성 세균이 증가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위의 이유들로 항생제가 남용되면, 항생제 내성 세균이 증식하게 됩니다.

    이는 다른 커뮤니티에 전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항생제 자주 사용 -> 세균이 하수로 이동 -> 식품이나 사람에게 전달 등...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면 내성이 발생하는 이유는 세균은 돌연변이가 잦고, 그 돌연변이를 통해 항생제 기전을 피하는 유전형질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능성의 문제이지만, 같은 항생제에 여러번 노출이 되면 세균도 이를 회피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다 결국 항생제 기전을 회피하는 돌연변이를 찾게 되고, 세균의 특성상 개체증식이 매우 빠르므로 항생제 내성을 획득한 세균이 주류가 되어, 결국 특정 항생제는 더이상 효과가 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