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익룡은 멸종하고 새는 왜 살아남은건가요

공룡대멸종이후 공룡계통으로 알려진 새는 날아남았지만 익룡은 멸종을 했는데요 왜 익룡은 멸종을 하고 새만 살아남게된 배경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가지 이유만으로 그 이유를 말씀드리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먼저 익룡은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크기가 있지만, 백악기 후기에는 몸집이 큰 종들이 많았습니다. 큰 몸집은 대량 멸종과 같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취약했습니다. 즉, 먹이가 많이 필요했고 번식 속도가 느려 변화된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반면 그 당시 초기 새들은 대부분 몸집이 작았습니다. 작은 몸집은 먹는 먹이도 적었고, 번식 속도도 상대적으로 빨라 급격한 환경 변화에 상대적으로 잘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화석기록으로 보면 익룡은 주로 활공 비행에 특화되어 있었고, 날개 구조상 민첩성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익룡은 특정 먹이만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먹이 변화에 취약했을 수 있습니다.

    반면 초기 새들은 익룡보다 능동적인 비행 능력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먹이를 사냥하거나 포식자를 피하는 등 나름의 생존 전략에서 유리한 점이 되었을 것입니다. 또한, 곤충이나 씨앗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종들이 나타나면서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이 상대적으로 유리했을 것입니다.

    게다가 피부로만 되어 있는 익룡의 날개는 추워지는 환경을 견디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공룡 대멸종이라는 급격한 환경 변화 속에서 익룡은 초기 새에 비해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멸종으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익룡이 멸종하고 새가 살아남은 주요 이유는 생태적 유연성과 생존 전략의 차이 때문입니다. 새는 크기가 작고, 깃털로 체온을 조절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반면 익룡은 대부분 크고 특정 먹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대격변에 취약했습니다. 또한 새는 나무에 둥지를 틀고 숲이나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했지만, 익룡은 상대적으로 한정된 환경에 의존했기 때문에 기후 변화와 생태계 붕괴에 더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