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세계박람회 엑스포(Expo)에 질문드립니다

세계박람회 엑스포(Expo), 세계 엑스포 등으로 불리는데 19세기에 시작한 ‘만국 박람회’가 발전한 것. 2030년 부산에 세계박람회를 유치하기 위한 움직임도 있었는데요 구체적인 경제효과는 어떠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세계박람회라 불리는 엑스포의 경우에는 새롭게 시설물을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인프라 구축에 따른 시설투자, 채용효과, 주변의 소비상승 효과, 관광효과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지난 부산 엑스포의 경우에는 생산유발효과는 43조원, 부가가치는 18조원에 해당하는 경제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를 했었어요

  • 경제효과를 말하기는 하는데 제 생각은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국가 홍보차원에서 좋은 것은 당연한 얘기고

    과거 88올림픽, 02년 월드컵유치때나 좋았지 지금은 이태원가서 사망한 외국인 유족들도 분통터진다는 인터뷰를 봤는데 한국정부가 유족들에게 너무 한게없다고 하더군요 오송지하도참변때도 외신기자가 와서 사망사고를 보도하는 등, 누가 오려고 할까요 놀러다니다가 죽는데 말입니다. 그저 평창올림픽때처럼 미리 기득권들이 그곳에 땅사고 폭등한뒤 팔아 돈벌고, 유지도 안되고... 나쁘게 봅니다. 브랜드파워는 차라리 손흥민이나 블랙빙크 방탄이 낫겠죠

  • 세계박람회가 개최되면 현지 경제에 관광 수요와 소비가 증가하고, 현지 기업들이 홍보와 수출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인프라 구축과 개발로 인한 경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질문하신 세계박람회 엑스포의 경제효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에선 지난번 부산 엑스포를 유치하기 위해서 여러 노력을 했지만 애석하게도 실패하였습니다.

    당시 정부는 이를 위해 선전하기를 엑스포의 경제적 효과는 직접투자액이 4조 4천억원,

    경제유발효과로는 29조원, 일자리 창출은 약 54만개에 이를 것이라고 홍보했습니다.

    물론,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지만

    일정 부분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세계박람회 엑스포(Expo)는 세계 각국이 산업, 과학, 기술 등의 발전 성과를 공유하고, 개최국과 개최 도시의 역량을 과시하는 대형 이벤트입니다. 이는 국가 브랜드 제고,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030년 부산세계박람회의 경우, 예상되는 경제적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유발효과: 약 43조원.

    .부가가치창출: 약 18조원.

    .고용창출: 약 50만명.

    .총 경제효과: 약 61조원.

    이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경제 효과 29조원)의 2.1배, 2002년 한일월드컵 (17조원)의 4배 가까운 규모입니다. 따라서 세계박람회 엑스포는 국가 브랜드 제고와 함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이벤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