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4.18

구름은 액체인데 어떻게 하늘 위에 떠있나요?

구름은 기체처럼 보이지만 미세한 물방울이 모여있는 액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액체 상태인 구름은 하늘 위에 떠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증발하여 생긴 수증기는 데워진 공기와 함께 위로 올라가는데 하늘 위로 올라갈 수록 대기의 온도가 낮아져 공기의 포화수증기량은 점점줄어들게 되는데요. 이로 인해 수증기가 얼어서 물방울 형태로 변하면 구름이 되는데. 이구름의 입자는 0.01mm 로 매우 작아서 하늘에서 떠있는데 이 입자들이 서로 뭉쳐서 질량이 무거워 지만 비나 눈으로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된 것입니다. 이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대기 중에서 상승 기류에 의해 떠다니면서 공중에 떠다니게 됩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대기 중의 온도, 압력, 습도 등이 결합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면 구름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는 상승 기류와 구름 입자의 작은 크기 때문입니다. 상승 기류는 지표면에서 데워진 가벼운 공기를 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며, 이는 구름 입자를 하늘로 밀어 올려줍니다. 또한, 구름 입자의 작은 크기는 공기 저항을 많이 받아 구름이 하늘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구름은 상승 기류와 작은 크기의 구름 입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하늘에 떠 있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가 대기 중에 모여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름 입자들은 아주 작아서 중력을 받으며 아주 천천히 낙하합니다.

    하지만, 구름이 형성되는 곳에는 상승 기류가 존재하며, 이 상승 기류가 구름 입자를 다시 밀어올리며 하늘에 떠 있게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