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제주항공 참사가 조종사 과실로 밝혀진 건가요?

조종사가 버드스트라이크 이후 당황해서 멀쩡한 반대쪽 엔진을 껐다는 미국교통조사국의 발표를 봤습니다. 1차적원인은 새 떼, 2차적원인은 조종사 과실, 3차적원인은 무안공항 둔덕이라고 하는데요. 버드스트라이크는 자주 있는 일이고, 무안공항에서 이착륙은 수십만번 있어왔으니 이 2개를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기는 힘들고, 멀쩡한 엔진을 꺼버리는 조종사 실수는 거의 없는 일이니 가장 큰 과실은 조종사 실수로 보는 게 맞다는 식의 발표를 하네요. 제주항공 참사의 진상이 이렇게 밝혀질 줄 예상하셨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보고싶은랍스타6
    보고싶은랍스타6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제주항공 참사에 대해 조종사가 손상된 오른쪽 엔진 대신 왼쪽 엔진을 정지시킨 사실을 중간 조사 결과에서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조종사 과실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유족과 조종사 노조는 책임을 조종사에게만 전가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빛나라 하리 입니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

    제주 항공 참사 원인이 조종사과실로 잠정결론을 내렸다 라고 보도 하였습니다.

    사고조사 위원회는 엔진자체 결함은 없다 라는 프랑스 CFM 인터내셔널 등 국제기관 정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발표 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조종사의 조작 실수 가능성을 제기 하였고, 오른쪽 엔진에 손상이 있었음에도 조종사가 왼쪽 엔진을 꺼서

    IDG(전력 장치)가 멈추고 블랙박스 전원이 꺼졌다 라는 것이 사고조사위원회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나 참사 유가족 측은 국토부가 조종사의 과실만을 강조하며 증거 공개 없이 조종사의 책임으로 몰아가고 있다

    라며 크게 반발하였고, 사고조사위원회의 언론 브리핑은 파행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제주항공 사건에 대해 그런 발표가 나왔다니 당황스럽고 허탈한 감정 드셨을 것 같아요 조종사가 버드스트라이크 직후 반대쪽 엔진을 끄는 실수를 했다는 점이 사실이라면 그 책임이 상당히 크다고 여겨질 수밖에 없고요 물론 버드스트라이크 자체는 항공기 운항 중 흔하게 발생하는 일이지만 이후 대처 과정에서의 실수가 사고로 이어졌다면 조종사 과실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요 무안공항의 특수성이나 이전 이착륙 횟수와는 별개로 정확히 작동 중인 엔진을 꺼버린 판단 실수는 매우 중대한 조작 오류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요 다만 최종 보고서에서는 시스템적 한계나 훈련 부족 같은 구조적 원인도 병행해 분석될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발표를 보면 조종사의 직접 과실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듯하지만 향후 추가 자료나 항공사 측 입장도 함께 지켜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좋은 하루 되세요

  • 현재까지 보도된 내용을 보면 제주항공 참사는 조종사의 판단 실수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미국 교통안전위원회는 버드스트라이트로 한쪽 엔진에 이상이 발생한 직후, 조종사가 정상 작동 중이던 반대쪽 엔진을 꺼버리는 치명적 실수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버드스트라이크 자체는 항공사고 흔한 요인이지만 대부분 엔진 2개중 1개만 손상되면 무사 착륙이 가능합니다. 즉 조종사의 실수가 사고를 심각하게 만든 결정적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제주항공 사고의 주된 원인을 조종사의 실수로 판단했죠.

    버드스트라이크는 자주 발생하며, 무안공항의 둔덕도 수많은 이착륙에서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조종사가 멀쩡한 반대쪽 엔진을 꺼버린 것은 매우 이례적인 실수로 보고 가장 큰 과실로 지적했습니다.

    예기치 못한 사고였지만 진상은 명확히 드러나고 있지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직 NTSB가 공식적으로 그런 결론을 내린건 아닌것 같습니다 지금까지는 예비조사 결과만 나온 상태인듯하네요 최종결과는 아직 더 시간이 걸릴거같구요 그리고 조종사분들도 돌아가신 상황에서 정확한 판단이나 의도를 파악하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항공사고는 보통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단순히 한가지 원인으로만 보기엔 좀 성급한감이 있네요 아무래도 최종 조사결과를 기다려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