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을 먹을때 같이 있는 만두나 김은 전혀 손대지 않네요
아이가 편식이 있는지 떡국이 먹을때 같이 있는 만두나 김은 전혀 손대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아이가 다른 음식도 먹게끔 유도할수 있을까요?
아이가 떡국을 먹을 때 만두, 김은 전혀 손을 대지 않으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아이가 어렸을 때 음식을 경험해보는 것은 향후 식습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이에게 다양한 음식을 시도하고자 하려면 점차적으로 작은 양부터 제공해 보는 게 좋아요. 만약 글에 제시된 떡국을 좋아한다면 떡국에 만두나 김을 섞어 함께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특정 음식은 잘 먹고, 다른 음식은 거부하는 경우는 종종 있을 수 있어요. 특히 떡국처럼 국물 음식에 만두나 김을 함께 먹을 때, 아이가 다른 음식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은 편식의 일환일 수 있지만, 반드시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아이들은 특정 음식의 맛이나 식감, 냄새에 민감할 수 있어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거든요. 아이들이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는 종종 감정적인 반응이 클 수 있어요. 특정 음식에 대한 불호감이나 단순한 습관 때문에 먹지 않기도 하죠. 강요보다는 아이가 어떤 음식을 싫어하는지, 왜 그런지 잘 들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이 만두가 왜 싫어?"라고 물어보면, 그 음식에 대해 어떤 느낌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어요. 그 이유를 파악하고,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다양한 음식을 점차 시도하게 됩니다. 편식이 있더라도, 그걸 고치기 위한 작은 시도와 유도가 중요해요.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차근차근 접근하고, 그 과정에서 아이의 선택과 감정을 존중해 주세요. 그렇게 하면 점차 아이가 다양한 음식을 시도하고 즐기게 될 거예요! 그리고 어떤음식이든 왜 먹어야하는지에 대해 부모님이 먼저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김치 떡 만두 이런 거는 굳이 먹어야 하는 음식이 아니에요 나트륨덩어리와 탄수화물 덩어리는 어린아이 몸에 좋지 않아요. 건강한 단백질과 영양소 풍부한 음식이 아닌 것들은 억지로 먹이지 마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음식을 먹을 때 편식을 한다면 먹지 않는 음식을 잘 먹는 음식에 잘게 다진걸 섞어서 먹여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