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는 왜 파랑새 등 특이한 새가 잘 보이지 않는 건가요?
도심에서는 주로 참새, 비둘기, 까치, 종달새 정도가 자주 보이는 것 같아요. 도시외곽으로 조금만 나와도 파랑새 등 희귀새도 많이 있던데 왜 도심에는 보이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서식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보통 희귀새들은 주로 숲이나 습지, 산림, 강가 등 특정하고 다양한 자연 서식지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도심은 아파트와 빌딩, 도로 등으로 대부분이 인공적인 환경이며, 이러한 새들이 필요로 하는 서식 환경이 부족합니다.
게다가 도심은 곤충이나 작은 동물, 특정 식물의 열매 등 먹이가 제한적입니다. 희귀한 새들의 경우 먹이 역시 상당히 특별한 경우가 많고, 그러한 먹이가 없는 환경에서는 서식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참새나 비둘기 등은 도시에서 사람들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나 작은 곡물 등으로도 충분히 생존할 수 있어 도심 환경에 잘 적응하는 것이죠.
그 외에도 각종 소음이나 공해, 인공 구조물로 인한 위험, 또 도시 적응종과의 생존 경쟁의 어려움 등도 희귀한 새가 도시에서 서식하기 힘든 이유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도심엔 식물 및 ㅈ먹이, 조용한 서식처가 적답니다.
소음 빛 오염이 많ㅇ아 희귀새가 잘 안나온답니다.
도시 환경은 특정 조류가 서식하기에 필요한 먹이 자원과 둥지를 틀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파랑새와 같은 종은 곤충을 주식으로 삼고 나무 구멍 등에 둥지를 만드는 생태적 지위가 명확하지만, 도심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습니다. 반면 비둘기, 참새, 까치 등은 먹이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인공 구조물에도 쉽게 적응하는 등 도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흔하게 관찰됩니다. 결과적으로 도시의 생태계는 환경 변화에 대한 내성과 적응력이 높은 소수의 종이 우점하는 구조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