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안 끄고 절전모드 상태이면 전기세 얼마나 나가나요?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조금 쉬려고 할 떄 잠에 들곤 합니다. 근데 컴퓨터를 켜두고 잘 떄 다음날 일어나면 컴퓨터가 절전모드에 들어가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이게 보통은 화면만 꺼지고 본체는 켜져있는데 ssd를 교체하고 난 이후는 그냥 본체까지 같이 절전모드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침에 키보드 누르면 다시 본체에 불 들어오면서 절전모드가 해제되고요 제 컴퓨터 본체가 컴퓨터를 키면 불이 켜지고 종료하면 불이 꺼지는 본체입니다. 보통은 화면만 절전모드인 상태만 봐왔어서 본체까지 절전모드인 상태는 처음봅니다. 이럴 경우 보통 전기세는 얼마나 나가나요?
(컴퓨터 고장은 아니고 그냥 제어판에서 전원 설정 안 바꾼거니 전기세만 답변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일 때의 전기 사용량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절전모드에서는 본체의 전력 소모가 매우 적어집니다.
보통 데스크탑 컴퓨터는 절전모드에서도 약 15와트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아요.
만약 본체까지 완전히 절전모드에 들어가 있다면, 하루 동안의 전기 사용량은 대략 0.020.12kWh 정도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평균 전기요금이 약 100원/kWh라고 가정하면, 하루에 약 2원에서 12원 정도의 전기세가 추가로 발생하는 셈입니다. 즉, 절전모드 상태에서 전기세 부담은 매우 적다고 볼 수 있어요.
요약하자면, 컴퓨터가 절전모드에 들어가 있을 때 하루 전기요금은 대략 몇 원 수준으로 매우 적으며, 전체 전기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025년 기준 주택용 전기요금은 kWh당 약 100~150원(누진제 구간에 따라 다름)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절전모드 월간 소비전력 0.518kWh × 100~150원 = 약 52~78원 수준입니다.
즉, 컴퓨터를 한 달 내내 절전모드로 두어도 전기세는 100원이 채 되지 않습니다
절전모드는 일반 대기모드랑 다르게 전력소비가 매우 적게 드는 편이에요
이제 일반적인 컴퓨터 본체의 경우 절전모드에서는 시간당 1~3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게 됩니다
근데 질문자님 말씀하신 상황은 완전 절전모드인 것 같은데 이런 경우는 더 낮은 1W 미만의 전력만 소비하게 되죠
하루 8시간 정도 절전모드 상태로 둔다고 가정하면 한달에 약 50원도 안되는 전기요금이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요즘 SSD는 절전기능이 더 좋아서 전체 시스템이 완전 절전으로 들어가는게 정상이에요
이제 전기요금 측면에서는 완전 절전모드가 훨씬 유리한데 모니터까지 다 꺼지니 전기료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 서핑정도를 하는정도라면 약 200w의 전력이 소비가 됩니다.
절전모드가 되면 모니터화면이 꺼지고 본체도 스스로 최소한의 전원만 유지할정도의 기능만 유지하고 휴면상태에 들어가는데요.
그렇게 절약대는 전력량은 평시 대비 약 절반정도의 전력이 소비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
그렇다면 절전모드시 전력소비량은 약 100w가량으로 볼수있는데요.
계산하기 편하게 24시간 절전모드로 컴퓨터를 켜놓는다고 가정하면 100x24= 2400이므로
2.4kwh가 됩니다.
25년 현재 일반 주택용 전기 1kwh당 122원가량 한다고 하니 24시간 동작시 약 300원가량의 전기비가 나오는것으로 계산이 되네요.
어디까지나 단가고 부가가치세와 누진세등을 포함하면 좀더 비싸게 나올수도 있겠습니다.
컴퓨터 끄지않고 시간이지날때 전기의 흐름은
절전모드에선 전원이 완전 차단 상태가 아니므로 아주 소량의 전류를 흘려 보내는 것을 의미하합니다 그럴경우 전력소비량은 대체로 2~3w로 소비 된답니다
수면등 하나 켜놓은 정도
되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