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청사자놀음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 공연되고 전해져 왔나요?
북청사자놀음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 공연되고 전해져 왔나요? 특정 지역에서만 전해지는 놀이이자 공연인가요? 그리고 공연의 춤, 음악, 동작 등이 표현하는 바가 무엇인가요?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청사자놀이의 주목적은 벽사진경이라고 합니다.
벽사진경이란 사귀(邪鬼)를 쫓고 경사로운 일을 맞이한다는 뜻입니다.
백수의 왕으로 벽사의 뜻을 가진 사자가 가면으로 전래하는 과정에서 악귀를 내쫓고 마을이 태평하고 행복하기를 기원하면서 정월 대보름날 사자놀이를 성대하게 거행했습니다.사자춤은 봉산탈춤이나 통영오광대 등 여러 탈놀이에서도 잠시 보이지만 역시 북청사자를 따를 수는 없습니다. 북청은 함경남도에 있는 행정구역이다. 북청군에서는 마을마다 사자놀이가 있었는데 북청읍의 사자계, 가회면의 학계, 옛 양천면의 영락계의 사자놀이가 유명했습니다. 1930년부터는 여러 마을 사자춤이 한데 모여 경연을 통해 우승팀을 가려내기도 하였으며, 그런 까닭에 우수한 팀만 살아남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던 놀이입니다.
북청군 중 북청읍의 사자계, 가회면의 학계, 구 양천명의 영락계 등의 사자놀음이 유명하며 도청을 중심으로 정월대보름에 놀았습니다.
북청사자놀음은 삼국시대의 기악, 무악 이래 민속놀이로 정착된 가면놀이로, 주로 대륙계, 북방계인 사자무가 민속화된 예이며, 북청일대에서는 음력 정월 14일 여러 마을에서 장정들의 편싸움이 벌어지고 달이 뜬 뒤 시작된 사자놀음은 15일 새벽까지 계속되었고 16일 이후 초청받은 유지의 집을 놀며 놀았습니다.
이때 먼저 마당으로 들어가 난무를 하면 사자가 맹렬히 뛰어가 내정을 거쳐 안방문을 열고 큰 입을 벌리고 무엇을 잡아먹는 시늉을 하고 다음에 부엌에 들어가 같은 행동 후 다시 내정 한복판에 나와 활발하고 기교적인 춤을 춘 뒤 가장 먼저 물러납니다.
이때 주인의 청에 따라 부엌의 조왕과 시렁 앞에 엎드려 조령에게 절하고, 또 아이를 사자에게 태워주면 수명이 길다고 해 태우기도 하고, 사자 털을 몰래 베어다두면 장수한다는 속신이 행해졌으며 수명장수를 빌어 오색포편을 사자 몸에 매어주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청사자놀이는 주로 함경북도 북청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던 사자놀이입니다. 탈놀음으로 북청군 전 지역에서 행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