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필수소비재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
최근 우리나라나 미국에서는 AI관련 기업들이 강세 흐름을 보여주고 있잖아요.
근데 이런 시기에 위험에 대비해서 필수소비재 기업들을 저렴하게 매수하면 좋다고 이야기를 많이 하더군요.
그렇다면 한국과 미국의 필수소비재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필수 소재 제조 상장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솔브레인: 반도체 식각액, 세정액 생산
동진쎄미켐: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화학재료 제조
후성:2차전지, 냉매, 반도체 특수가스 등 무기화합물 생산
덕산테코피아: OLED, 반도체 전자재료, 고분자 촉매 제조
티씨케이: 반도체용 고순도 흑연, 실리콘카바이드 소재 제조
주요 미국 필수소재 제조 상장 기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Caterpillar(CAT): 건설, 광업용 필수장비 및 부품
3M Company(MMM): 산업용 기초소재(접착제, 연마재 등)
GE: 에너지, 항공 등 필수 제조 기술 및 소재
Honeywell International(HON): 산업용 특수 소재, 자동화 기술
Nucor Corp.(NUE): 미국 최대 철강, 기초 금속
Applied Materials(AMAT):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소재 솔루션
Corning(GLW): 특수 유리 및 세라믹 소재
Entegris(ENTG): 첨단 반도체 공정 필수 소재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필수소비재는 경기와 상관없이 소비가 일정한 소비재로서 일반적인 생활용품이나 음식료업종, 의약품, 통신, 담배업종을 말합니다.
즉 한국에서 대표적으로 통신3사주와 KT&G 그리고 유한양행 한미약품과 같은 빅파마 음식료업종인 오리온 CJ제일제당 농심과 같은 기업이 대표적입니다. 외국기업으로는 글로벌 소비재기업 네슬레와 미국에선 프록터앤겜블, 펩시코, 코카콜라 크래프트하인즈와 같은 음식료나 생활용품업체가 있으면 의약품으로는 존슨앤존슨, 화이자 그리고 담배업종은 알트리아 유통업으로는 월마트가 대표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미국의 필수소비재는 코카콜라나 월마트와 같이 경기가 아무리 어려워도 꼭 소비를 하는 대표적인 곳들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쿠팡이나 오프라인 등 여러 갈래로 나눠져 있는 만큼 식자재에서 찾긴 어렵습니다
그러나 담배회사의 경우 반독점 형태이기에 필수 소비재 영역에 해당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필수소비재 기업으로는 KT&G, 농심,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한국화장품 등이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P&G, 코카콜라, 월마트, 존슨앤존슨 같은 기업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과 방어적 성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어 위험 분산용 투자처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AI 강세장의 위험 대비책으로 필수소비재 기업을 저가 매수하는 전략은 분산투자 측면에서 좋은 생각이에요.
한국에서는 CJ제일제당, 농심, LG생활건강, KT&G 등이 대표적인 음식료/생활용품 및 담배 기업들입니다.
미국 필수소비재는 글로벌 브랜드 파워를 가진 P&G, 코카콜라, 펩시코, 월마트, 코스트코 등이 핵심이며, 이들은 강력한 경기 방어주로 꼽힌답니다.
안정적인 배당과 꾸준한 소비 기반이 이들 기업의 매력이니 투자 전 가치평가를 확인하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필수소비재 기업에는 P&G, 코카콜라, 펩시코 등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CJ제일제당, 오뚜기, LG생활건강 등의 기업들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필수소비재 기업은 KT&G(담배), 오리온(제과) 등 안정적인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식료품 및 담배 제조사들이 있습니다.. 미국에선느 P&G(생활용품), 코카콜라(음료), 월마트(유통) 등 경기 변동과 관계없이 소비가 꾸준히 발생하는 생필품, 식음료, 대형 할인점 관련 기업들이 이 섹터를 주도하며 대표적인 방어주로 불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의 필수소비재 기업으로는
식품음료쪽에
CJ 오뚜기 농심 롯데칠성음료 매일유업 남양유업 빙그레등이 있고
생필품쪽에
엘지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유통쪽에 이마트 롯데쇼피 BGF리테일 등이 있습니다
미국의 필수소비재 기업으로는
식품음료쪽에서는
코카콜라 크래프트헤인즈 제너럴밀즈 타이슨푸드
생활용품쪽에서는
P&G. Colgate Kimberly
유통쪽에서는 월마트와 코스트코가 있습니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오뚜기, 농심, CJ제일제당, 빙그레, LG 생활건강 등이 대표적입니다.
미국은 프록터앤갬블, 코카콜라, 펩시코, 월마트, 코스트코, 킴벌리클라크 등이 핵심입니다.
경기 변동과 상관없이 수요가 꾸준해 위험 분산용 포트폴리오에 자주 들어가는 업종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는 P&G, 콜게이트 등이 생필품 전문 기업으로 필수재 기업에 해당하며 한국의 경우 이마트, 농심, 오뚜기, LG생활건강, KT&G 등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한국에서는 식품 분야의 CJ제일제당, 농심, 오리온, 하이트진로 등과 담배 제조사인 KT&G, 생활용품과 일부 유통 사업을 하는 LG생활건강 등이 대표적인 필수소비재 기업입니다.
다음으로 미국에서는 세계적인 소비재 기업인 P&G, 코카콜라, 펩시코, 월마트, 코스트코 같은 기업들이 필수소비재 섹터 기업들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필수 소비재 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비재 기업으로는 LG생건, KT&G, 이마트, 오뚜기, 한국 전력 등
이런 곳들이 필수소비재 기업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필수소비재 기업으로는 한국에서는 CJ제일제당, 오뚜기, 농심, 빙그레, KT&G 등이 있고, 미국에서는 Procter & Gamble, Coca‑Cola, PepsiCo, Walmart, Costco, Kimberly‑Clark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들은 경기 변동에 민감도가 낮고 안정적인 수요와 배당 매력이 있어서 리스크 방어적 투자에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