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아이들과 거리가 멀어지지 않게 훈육하는 방식이 궁금합니다

사회적으로 문제화된 아이들의 사건 사고들을 보면

결국 부모들과의 자유로운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어떤 문제 앞에서 혼자 앓다가 결국 문제가 되는 경우들이 있는 것 같던데

훈육을 어떤 방식으로 해야

아이들과 부모, 자식이라는 거리가 느껴지지 않으면서

잘못되었다는 것을 지적하고 고칠 수 있게 할 수 있을까요?

너무 일방향적인 훈육을 하게 되면

나중에 아이가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부모와 상의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 같은데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잘못에 대해서는 따끔하게 지적할 수 있는 훈육 방식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훈육이라는 걸 부모님들께서 착각하시고 있는 것들 중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엄하게 혼내고 무섭게 대하는 것이 바람직한 훈육의 정석이고 효과가 좋다고 생각하시는 것인데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바람직한 훈육이라는 것은 단호하면서 아이에 대한 애정이 담겨져 있어야 합니다. 소리 치거나 화내는게 훈육이 결코 아닙니다. 담백하면서 진한 부모님의 찐인생 경험이 녹아 들어가 있는 훈육을 아이에게 해주시는게 가장 적절한 훈육인 것입니다. 더불어 이를통해 아이와의 실질적인 소통, 즉, 마음과 마음의 대화가 오고 가야 하는 것입니다.

  • 훈육은 혼을 내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행동을 하도록 가르치는 것입니다. 아이가 어떤 상황에서 문제 행동을 일으켰을때 일방적으로 몰아치듯이 큰소리로 소리를 지르거나 체벌등을 한다면 아이와의 관계가 멀어지고 소통자체가 힘들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와의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 아이와 대화를 자주 하려고 해야 하며 아이의 의견이나 생각을 존중하려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잘못된 행동을 했을때는 왜 그런행동을 했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거나 이해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다그치기보다는 올바르게 행동할수 있도록 대처방안을 제시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이런 관계가 지속이 될 경우 아이도 편안하게 부모님과의 대화도 하려고 할테고 고민같은 것도 털어놓을수 있을수 있다고 봅니다.

  • 아이와 관계적인 측면을 고려하면서 훈육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훈육을 할 때는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아무리 감정이 상하더라도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이런 환경 속에서 자란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과 거리감이 멀지 않게 훈육을 하는것은 없습니다. 훈육을 할때는 확실하게 해주셔야 하고 달래줄때는 사랑으로 달래주셔야 됩니다. 훈육을 달콤하겐 할 수 없으며 확실하게 해줘야 아이들이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 훈육이라 함은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바로 잡아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훈육을 꼭 큰소리를 내거나 화를 내면서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그 부분을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그 부분이 잘못 되었는지를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세요.

    또한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행동을 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물어보고. 아이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주고,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면서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세요. 아이의 이야기가 끝났다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훈육의 목적은 아이를 올바른 방향으로 키우기 위함입니다. 부모가 올바른 목적과 방향을 가지고 하는 훈육은 아이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간혹 화풀이식의 훈육을 하면서 아이가 올바르게 크기만을 기대하는 부모가 있는데, 그것은 아이와의 관계가 멀어질 수도 있습니다.

  • 아이와 대화가 쉽지는 않습니다 아이들의 문화를 어른들이 쉽게 이해 하지 못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타고난 성향이나 기질이 무척 다릅니다

    나는 안 그런데 내 아이는 왜 이럴까 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대화는 어렵다 할 수 있겠습니다

    대화는 나의 이야기 보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것 입니다

    상대방의 잘못을 지적하는 순간 대화가 아닌 처벌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듣고 있음 본인이 무엇을 잘 못 했는지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라고 물어만 봐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부모님이 잘못을 결정 해줘 버리면 아이의 입장에서는 반감이 생겨나 더 이상의 대화는 어려워 짐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