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환자에게 저혈당쇼크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오늘 모임에서 당뇨를 앓고 계신 60초반 정도 되시는
지인인데 갑자기 어지럽고 손이 떨리다고 하시면서
사탕을 급하게 드시더니 안정을 취하셨는데
혈당이 조절이 잘 되다가 가끔 저혈당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더라구요.
저혈당 막으려면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저혈당은 혈당이 너무 낮아지면 발생하며, 이는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과 같은 당뇨 치료제를 복용할 때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당이 70mg/dL 미만으로 떨어질 때 저혈당으로 간주되지만, 개인마다 저혈당을 느끼는 혈당 역치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저혈당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와 같은 치료제의 용량이 많거나 투여 시간이 부적절한 경우, 식사를 빼거나 늦게 하는 경우, 운동으로 인해 포도당 소비량이 증가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저혈당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저혈당 무감지증" 또는 "불감증"이라고 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저혈당이 발생해도 증상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상태로, 이전에 반복적으로 저혈당을 경험한 결과입니다.
저혈당을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당 조절 목표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식사, 운동, 약물 복용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혈당 증상이 나타날 때는 자가혈당 측정을 통해 혈당을 확인하고, 혈당이 70mg/dL 미만이면 당분을 섭취하여 혈당을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대처 방법을 통해 저혈당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당뇨 환자들은 혈당을 낮추는 약을 꾸준히 복용하기 때문에 음식 섭취량이 평소보다 적어지거나 활동량이 많아지는 경우, 약물 복용 시간을 지키지 못한 경우 등의 상황에서 저혈당이 유발되는 편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