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순한고릴라182
순한고릴라182

사람의 피부는 자가회복 성질이 있는걸까요

사람의피부를 보면 보통 살이 찢기거나하면 실로 묶어두고 한 2주정도지나서 실밥풀고 그러면 피부랑 살이 봉합되어있잖아요 이처럼 자가회복하는 성질이 있는거같은데 저는 궁금한게 사람이 눈을다치거나 이빨이 부러지거나하면 왜 자가회복을 못하게 진화를 한걸까요 진화과정에서 보면 눈이랑 이빨 이런거는 다치면 생존경쟁에서밀려서 사라졌을거같은데 유전이 아직까지된이유가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간의 치아는 한번 자라난 후에는 자가 회복 능력이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합니다. 치아는 주로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고 생체 조직처럼 손상 후 회복할 수 있는 세포가 없기 때문입니다. 눈의 각막은 일부 부분 손상이 되었을 때 자가 회복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망막이나 수정체 같은 부분은 한번 손상되면 자연 회복이 어렵습니다. 눈에서 손상에 대응하는 생체 메커니즘이 피부에 비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회복이 잘되는 조직과 그렇지 않은 조직의 차이는 진화의 결과로 보고 있습니다. 진화는 모든 기능과 조직의 완벽한 설계를 추구하기 보다는 생존과 번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생존과 번식에 충분하다면 그외의 구조나 기관은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았거나 번식에 큰 영향이 없다고 판단한 것의 산물이라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 답변이 순한고릴라님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한번 부탁드립니다.

  • 피부는 표피와 진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피 아래의 진피층에는 섬유아세포, 혈관 등이 존재하여 상처 치유 과정을 돕습니다. 하지만 눈이나 이빨은 피부와는 다른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자가 회복 능력이 제한적입니다. 눈은 복잡한 신경 조직과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빨은 에나멜질, 상아질 등 단단한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어 손상 시 복구가 어렵습니다. 진화 과정에서 눈과 이빨은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자가 회복 능력까지 갖추기 위한 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자연 선택 과정에서 우선순위가 밀렸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네, 사람의 피부는 자가회복 능력이 있습니다.

    피부에 손상이 발생하면, 상처 치유가 시작되는데, 이는 응고, 염증, 상피화, 섬유아세포증, 성숙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은 조직 재생을 통해 피부의 연속성을 복원하고 피부 기능을 회복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치아나 뼈 등과 같이 완전히 신체의 일부를 소실하는 것과 피부의 자기회복능력과는 상당히 다른 능력입니다.

  • 사람의 피부 세포는 일생 동안 끊임없이 분열하는데요, 가장 바깥쪽에서 탈락된 세포를 대신하여 공간을 메꾸기 위해서이며 피부가 재생된다는 것은 세포분열을 통해 새로운 피부 세포가 만들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상처가 났을 때에는 혈소판이 피를 멎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혈소판에는 많은 성장인자가 들어있기 때문에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킵니다. 뼈가 부러지게 된 경우에도, 이를 고정시키면 다시 뼈가 붙으면서 회복이 가능한데요 뼈는 혈액 속 영양분이 공급되어 재생이 가능한 것이지만 치아는 뼈보다 단단하고 무기질로 이루어져있으며, 외부로부터 영양분이나 산소 공급이 힘들기 때문에, 점점 갈수록 칼슘덩어리가 되어가므로 재생이 불가능한 것입니다.

  • 피부세포들은 서로 잡아당기는 장력이 매우 강한 조직 중 하나이기때문에, 회복되면 서로 탄력적으로 잡아당겨 흉터가 외관상으로는 그 물리적모습이 거의 변형이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자세히보면 진피층이 무너지고 표피층도 울퉁불퉁되어 흉터로남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죠.

    물론 어느정도 체세포복제가 이루어져 빈공간을 메워 재생이되고 손상된 조직이 복구가되기는 합니다.

    눈도 각막이나 상피세포 처럼 얇고 작은상처들은 회복되고 메꿔질 수 있으나 완전히 소실되거나 하는것은 줄기세포단계부터 키워나가야하기때문에 사실상 복구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피부로따지면 모든피부를 벗겨내고 피부가 다시자라기를 기다리는것과 비슷합니다.

    즉, 어느정도 유사성이 있는 세포들이 존재하고 자가체세포복제를 하며 인접한곳을 메꿔야하지만 완전소실로인한 재생은 인간의 경우 회복이 불가능합니다.

    도마뱀의 꼬리의경우 줄기세포가 꼬리쪽으로이동하여 꼬리가 없어져도 다시 자라게 되는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