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언제 어디서든 하나라도 배우자
언제 어디서든 하나라도 배우자23.07.05

위화도회군이 일어난 배경은 먼가요

고려말 이성계는 왕의 명령으로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원나라를 정벌하기위해 출정했었다 병력을 되돌려 정권을 잡았다 하는데요 어떤 정치적배경으로 일어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작은 나라인 고려가 큰 나라인 명나라를 거스르는 일은 옳지 않다는 명분으로 회군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0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화도 회군은 이성계가 군사를 이끌고 요동 지역을 공격하러 갔다가 위화도에서 군사를 되돌려온 사건이라고 합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치는 것은 불가능하고, 농번기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은 무리이며, 명나라와 싸우는 사이에 일본군이 쳐들어올 위험이 있고, 장마철이라 무기를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전염병이 유행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요동 정벌을 반대하였다고 합니다.

    이성계는 위와 같은 반대로 군사를 되돌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우왕과 최영 대장군은 요동정벌을 위해 이성계를 대장군으로 삼아 출병을 시키는데 이성계는 출병 후 위화도에서 4불가론(첫째 작은나라가 큰나라를 칠 수 없다. 둘째 여름에 출병하면 농사를 망친다. 셋째 여름 장마철에 무기의 아교가 녹아 쓸 수 없고 전염병도 창궐한다. 넷째 북침을 하면 남쪽에선 왜구들의 침입이 잦아진다.)을 들어 회군을 결정하게 되고 군과 백성의 인심을 얻어 역성혁명으로 조선을 건국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 사대부들은 이른바 역성 혁명[易姓革命 : 임금의 성(姓)이 바뀐 혁명이라는 뜻. 하늘의 명(천명)을 받은 사람이 새 왕조를 세우게 되는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무력을 동원하여 많은 피를 흘리는 쿠데타와는 달리 이른바 평화적 정권 교체라는 점이 특징이다.]으로 조선을 건국했습니다. 많은 피를 흘리는 커다란 정치적 변란 없이 새 왕조가 세워진 것이죠. 신진 사대부는 위화도 회군이라는 군사적 행동과 과전법 실시라는 경제적 개혁을 단행하며 새 시대를 열어갈 실권을 잡게 됩니다. 원을 밀어낸 명나라는 원의 직속령이었던 철령 이북의 땅을 지배하겠다고 고려에 일방적으로 알려 왔습니다. 이 일을 놓고 고려 조정은 두 입장으로 갈라지게 됩니다. 최영을 중심으로 한 사람들은 요동을 정벌하자고 주장했고,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사람들은 이에 반대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최영의 의견이 받아들여져 요동 정벌을 위한 출병이 이루어졌습니다.


    울며 겨자 먹기로 떠난 이성계는 압록강 하류에 있는 섬 위화도에서 큰 비를 만나게 됩니다. 때는 5월, 지금으로 하면 6월 장마철이었죠. 이성계는 더 이상 진격할 수 없다고 보고했지만 거절당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첫째,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칠 수 없다. 둘째, 여름에는 군사를 동원할 수 없다. 셋째, 대규모의 군사가 요동으로 향하면 남쪽에서 왜구가 공격할 것이다. 넷째, 지금은 무덥고 비도 오는 시기이므로 무기가 망가지고 군사가 질병에 걸리기 쉽다.’라는 네 가지 이유를 들어 요동 정벌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른 장수들도 이에 동의하자 자신을 얻은 이성계 등은 위화도에서 말머리를 돌려 개경으로 돌아와 버렸답니다. 그리고 자신의 반대파인 최영 등을 제거합니다. 이 일로 이성계 세력은 정치적 ·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위화도에서 돌린 말머리는 결국 왕조를 바꾸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입니다.

    출처 : 고교생이 알아야 할 한국사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