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옵션은 반대매매가 존재하지 않나요?

선물은 마진콜이 발생하고 추가 자금을 납입하지 않으면 그대로 청산당하고 손실이 확정되는데요. 혹시 옵션도 그런 비슷한 장치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옵션 매수를 할경우에는 반대매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히 권리금를 사는것이기 때문에 일종의 복권인 개념이고 이를 행사하냐 마냐는 매수자의 결정이고 최초의 현금흐름은 살때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옵션매도를 하는 포지션을 갖게될경우 일종의 선물매도와 비슷한 포지션을 갖게되는것이며 이경우 만기에 대해서 옵션 매수자가 행사가격을 행사할경우 시장가와 행사가격의 차이만큼 본인의 손실이 발생하게되는 구조이므로 이에 따른 마진콜이나 추가증거금 납부요구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옵션은 주식의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 또는 팔 수 있는 권리(풋옵션)를 거래합니다.

    그러므로 옵션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입장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옵션을 사는 사람(구매자)은 미리 정해진 금액(프리미엄)만 지불합니다. 추가 비용없음(최대 손실이 프리미엄으로 제한) 그리고 옵션의 판매자(파는 사람)은 보증금(증거금)을 내야 하고, 시장 상황이 나빠지면 추가로 돈을 내라는 요구(마진콜)를 받을 수 있고 추가 돈을 내지 않으면 강제로 거래가 종료될 수 있습니다(강제 청산)

    선물은 사고파는 사람 모두 마진콜 위험이 있지만, 옵션은 주로 파는 사람(판매자)만 위험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옵션 거래에서는 반대매매 개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옵션은 매수 또는 매도 권리를 거래하는 것이기 때문에, 만약 옵션을 매수한 후 손실이 발생하면 해당 옵션을 만기 전에 매도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선물처럼 마진콜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옵션의 경우, 매수자는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계약을 체결하며, 만약 옵션이 만기 시 가치가 없으면 프리미엄만큼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옵션 거래에서는 선물과 달리 반대매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옵션은 매수자와 매도자의 권리와 의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옵션의 매수자는 권리만 가지고 있어, 옵션이 행사되지 않으면 최대 손실은 옵션 프리미엄으로 한정됩니다. 따라서 마진콜이나 반대매매와 같은 강제 청산 장치가 따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매수자는 만약 옵션이 만기까지 무의미해지면, 프리미엄을 잃는 것이 전부입니다.

    하지만 옵션 매도자의 경우는 다릅니다. 옵션 매도자는 잠재적으로 무한대의 손실 위험을 감수하기 때문에, 이들의 포지션에 대해서는 마진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옵션 매도자가 마진을 충족하지 못하면 강제 청산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선물 거래와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손실이 커질 경우 추가 자금을 납입하지 않으면 해당 포지션이 청산되며, 이를 통해 손실이 확정됩니다.

    따라서 옵션 매수자에게는 반대매매가 없지만, 옵션 매도자는 마진콜을 통해 청산될 수 있습니다. 옵션 거래에서 매도자는 항상 손실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옵션 거래에서는 선물과 달리 일반적으로 마진콜이나 강제 반대매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옵션의 구조적 특성 때문입니다. 옵션 매수자의 경우, 최대 손실은 지불한 프리미엄으로 제한되어 있어 추가적인 손실 위험이 없습니다. 따라서 옵션 매수 포지션에 대해서는 마진콜이나 강제 청산의 필요성이 없습니다.

    옵션 매도자의 경우에는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손실 가능성이 있지만, 대부분의 거래소와 브로커들은 이를 관리하기 위해 다른 방식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옵션 매도 시 필요한 증거금을 미리 요구하며, 이 증거금은 옵션의 가격 변동에 따라 조정됩니다. 만약 증거금이 부족해지면 추가 증거금을 요구할 수 있지만, 이는 선물의 마진콜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옵션 거래에서는 대신 리스크 관리를 위한 다른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옵션 매도자에게 높은 수준의 초기 증거금을 요구하거나, 포지션 한도를 설정하여 과도한 위험 노출을 제한합니다. 또한, 일부 거래소나 브로커는 극단적인 시장 상황에서 옵션 매도자의 포지션을 강제로 청산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으며, 선물의 마진콜과 같은 일상적인 절차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