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이 일반인에 비해 청각능력이 뛰어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시각장애인들은 청각능력이 일반인에 비해 뛰어나다고 하는데요.
시각능력이 없어 청각에 의존을 많이하기때문에 발달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시각장애인은 시각 정보를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청각과 같은 다른 감각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주변의 소리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며, 소리의 세부적인 차이를 더 잘 구분하게 됩니다. 뇌는 사용되지 않는 감각의 뉴런을 다른 감각의 처리에 재할당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시각 정보 처리에 사용되던 뇌의 일부 영역이 청각 정보 처리를 돕기 위해 재구성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각장애인은 시각적인 정보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다른 감각들이 더욱 발달하게 됩니다. 뇌는 시각적인 정보를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청각 촉각 후각 등 다른 감각들을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이도록 발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시각장애인은 시각적인 정보를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감각들을 이용해 환경을 탐색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러한 능력은 청각능력을 더욱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시각장애인은 시각적인 정보를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감각들을 이용해 의사소통을 하고 생활을 하는 능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능력은 청각능력을 더욱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은 시각적인 정보를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다른 감각들을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청각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천성 시각장애인이 비시각장애인보다 청각 능력이 뛰어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람의 대뇌는 중앙의 긴 홈을 기준으로 좌우 반구로 나뉘며 신체의 모든 신경 다발이 뇌교를 지나 서로 반대 방향의 반구를 향해 갑니다. 따라서 좌·우측 귀로 들어온 소리는 반대편 뇌로 신호가 올라가게 됩니다. 이런 중추 청각처리 능력을 살펴본 결과, 선천성 시각장애인은 언어를 이해하는 역할을 하는 좌측 대뇌반구보다 소리의 패턴과 음색을 인식하는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즉 오랜 시간 시각 정보가 차단되면서 대뇌가 청각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보상적으로 발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시각장애인의 뛰어난 청각능력은 주로 신경가소성(neural plasticity)과 보상적 적응 때문입니다. 시각 정보가 부족하면 뇌는 다른 감각, 특히 청각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청각 피질이 확장되고, 소리 처리 능력이 향상됩니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청각 정보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므로, 소리에 대한 주의력과 집중력이 자연스럽게 높아집니다. 이는 단순히 청각에 의존해서가 아니라, 뇌의 적응 능력과 지속적인 청각 훈련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향상된 청각능력은 뇌의 적응력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시각장애인이 일반인에 비해 청각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단순히 청력 자체가 더 발달했기 때문이 아니라 시각 정보의 부재로 인한 청각 정보 처리 능력의 향상 때문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은 다양한 부분에서 청각 능력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리의 높낮이 분석력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선천성 시각장애인 그룹은 비시각장애인 그룹보다 소리의 높낮이를 더 잘 구분하는 능력이 뛰어났습니다. 특히 시각 장애 기간이 길고, 나이가 어릴수록 이 능력이 더욱 발달했습니다.
또한 시각장애인 그룹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소리 에너지를 더 잘 인지하는 능력도 뛰어났으며 소리의 패턴과 음색을 인식하는 우측 대뇌반구의 기능이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청각 능력 향상의 원인으로 뇌의 가소성 및 보상적 청각 발달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즉, 시각 정보가 부재한 상황에서 뇌는 시각 정보 처리에 사용되었던 영역을 청각 정보 처리에 활용하게 되면서 이를 통해 청각 정보 처리 능력이 향상될 수 있었다는 것이죠.
또한 시각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은 청각 정보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더 많이 기울이기 때문에 이러한 노력은 청각 정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 것으로 추측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시각장애인이 청각 능력이 뛰어난 것은 아니며, 개인마다 차이가 존재하며, 후천성 시각장애인의 경우 시각을 잃은 나이에 따라 청각 능력 향상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