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05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가 큰가요??

안녕하세요. 시중에 1금융권 2금융권이라고 은행이 있는거 같은데 왜 구분해둔건가요?? 특별히 구분할만큼 차이가 크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금융기관 중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5천만원까지 보장되는 곳이 1금융권이고, 그렇지 않은 곳이 2금융권입니다. 또한 대출이자율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5천만원까지 보장되며, 각 기관별로 적용되는 금리 및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하신 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고

    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라며 2금융권에는

    은행을 제외하고도 증권회사, 보험회사 등도 속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1금융권과 2금융권의 큰 차이는 '할 수 있는 업무의 영역'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즉 쉽게 말씀드리면 모든 2금융권(보험, 저축은행, 캐피탈, 카드등)의 모든 업무를 다 할 수 있는 기관이 1금융의 은행이라는 곳입니다. 그렇기에 은행이 고객의 자산을 예치하게 되면 더 많은 곳으로 자금을 활용하여 수익을 거둘 수 있으며 자금의 조달 방법 또한 정부재원 자금조달을 받는만큼 수익구조 또한 2금융권에 비해서 안정적입니다. 이렇게 1,2금융권의 분류는 해당 금융기관이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게 되는데 1금융권의 은행들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고 2금융권은 대부분 여신전문법의 적용을 받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에누 ‘중앙은행’과 ‘예금은행’으로 나뉘어요. 중앙은행은 한국은행, 예금은행은 한국은행이 공급하는 통화로 예금을 창출하는 은행을 말하죠.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은행이 대표적인 제1금융권 예금은행이에요. 이밖에 지역 이름이 붙은 지역은행, 외국계 은행, 특수은행도 제1금융권인데요. 특수은행으로는 한국산업은행, 수협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등이 있어요. 2금융권에는 은행을 제외한 보험회사,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저축은행, 상호금융기관, 여신전문금융회사(카드사, 캐피탈) 등을 말해요. 우체국과 협동조합도 제2금융권에 속하죠. 제1금융권과는 다르지만, 유사한 기능을 수행해요. 그리고 취급하는 상품이 적어요. 제1금융권에 비해 취급하는 상품이 적어요. 비통화기관으로서 주로 투자, 저축, 보험을 다루죠. 제2금융권에서는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할 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