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척추디스크 미세현미경은 어떻게 진행되는 것인가요?
아는 분이 척추 디스크때문에 미세현미경시술이라는것을 하신다는데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궁금해 질문드립니다. 그 분말로는 현미경달린 바늘을 넣어서 어떻게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저도 그 시술을 받게될 상황이 올수도 있을것같아 조금더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에 있어 내시경, 현미경, 레이저 등을 사용하는 다양한 변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탈출된 디스크를 직접 제거해주는 대신 간접적으로 감압해주는 변법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주사약으로 디스크를 녹이는 방법, 디스크를 특수 기구를 이용하여 잘게 썰어서 흡인해 내는 방법,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방법, 레이저나 열로 디스크를 녹이는 방법 등과 이들을 혼합하는 방법 등입니다. 이들 대부분은 절개가 작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적 부담이 적고, 수술이 쉽고 간단하여 초보자들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우(적용 대상)가 제한되어 있어서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출처ㅡ 중앙대학교 병원 건강칼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척추 디스크 미세현미경 수술은 미세한 침을 현미경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허리 부위로 진입하여 탈출 되어있는 디스크 수핵을 제거하는 수술법으로, 표면 피부 및 연부조직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예전에는 디스크 수술을 위해서 척추 부위를 절개하여 디스크를 제거하였으나
최근에는 수술기법이 많이 발전하여 심하지 않은 단순 디스크의 경우
구멍을 뚫고 그 속으로 현미경을 통해 미세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가까운 신경외과,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설명들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미경달린 바늘?
저희 병원에서는 디스크 수술을 종류에 따라서 현미경수술과 내시경시술로 하게 됩니다.
수술은 전신마취 시술은 약간 재워서 하는 거..
아마 내시경시술같습니다.
디스크 안나오도록 운동하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수술은 일반적으로 전신마취로 이루어지나 척추마취로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마취 후 수술 테이블에 환자를 엎드린 상태로 수술에 적합한 자세를 취한다.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한 디스크 레벨을 이동형 엑스레이 장치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그 주위를 소독한다. 일반적으로 정중앙에 세로로 약 3 cm 정도의 절개를 하여 근육을 척추뼈의 극돌기(Spinous process) 및 후궁(Laminae)으로부터 박리하여 후궁간 공간(Inter-laminar space) 및 후궁을 노출하고, 근육을 견인하는 견인기를 거치하여 시야를 확보한다. 다른 방법으로 serial dilator라는 기구를 이용해 점진적으로 근육을 벌린 후 관형 견인기(Tubular retractor)를 거치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방법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단계까지 마치고 수술용 현미경을 보면서 수술을 한다. 수술을 시행하는 레벨 및 디스크가 탈출한 위치와 방향에 따라 후궁 및 후관절(Facet joint)의 일부를 전동 드릴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후궁 아래에서 신경을 덮고 있는 황색인대(Ligament flavum)을 제거하여 신경을 싸고 있는 껍데기인 경막(Dura)과 이로부터 분지되는 신경근(Nerve root), 디스크 등을 노출한다.
탈출된 디스크는 그 발생 위치 및 탈출의 정도에 따라 바로 노출이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신경을 견인하거나 디스크의 외연을 절제해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노출된 디스크를 제거하면 수술이 종료가 된다. 탈출된 디스크 제거 후 디스크 탈출증의 예방을 위해 디스크 내부의 수핵(Nucleus)을 좀 더 제거하기도 한다.
마취에 걸리는 시간을 제외하고 한 시간에서 두 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일반적이지 않은 위치에 발생한 디스크 탈출증이나 석회화가 심한 디스크 탈출증의 경우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주민욱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미세현미경'시술'이 아니라 미세현미경'수술'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내시경을 이용해서 디스크를 제거하는 경우는 있지만 현미경달린 바늘을 이용한 수술법은 아직 들어보지 못 했습니다.
수술부위가 작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수술부위를 확대해서 보면서 수술하는데 이를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디스크 제거술' 이라고 부릅니다.
수술 방법은 디스크 있는 피부를 3~4cm 가량 절개한 후 근육을 박리하고 척추 후궁(laminar)을 노출시킵니다.
이후 드릴을 이용해서 뼈를 보통 1 x 1cm 정도 갈아서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를 노출시키고 이를 제거하면 척수가 나옵니다.
척수와 신경뿌리 경계를 확보한 뒤, 디스크를 제거하게 됩니다.
입원기간은 보통 일주일이고 보조기는 6~8주정도 착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