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금 대세 상승장이 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릴까요?
다시 대세 상승시장이 되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 등 더 많은 시간이 지나야할지 궁금합니다.
현재 시장이 등락이 심한편이라 언제쯤 안정화 및 대세 상승장이 될 수 있을까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긴축이 필요해보였던 시기에 코로나-19의 발발로 경기활성화를 위한 기준금리 인하, 양적완화 정책 등이 수행되면서 어느정도 버블이 낀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강도높은 긴축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의 상황은 그다지 좋지 않고, 미국의 CPI 등 어느정도 긍정적인 지표들이 나왔다고 하더라도 아직 미미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세 상승장이 다시 오기 위해서는 적어도 내년 하반기는 되어야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시 대세장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계속되는 금리인상 리스크가 먼저 해소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금리인상 리스크는 내년 중반까지는 지속될 것 같으며, 내년은 금리인상으로 인한 여파가 경제 전반에 한파로 몰아닥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당장 저축은행과 중소건설사들의 PF대출의 부실화로 인한 연쇄 도산의 가능성이 있으며, 개인의 경우도 고금리로 인해서 저소득의 경우는 벌써부터 연체와 회생신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게다가 국외로는 유럽와 중국의 경기침체로 인해서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의 재고가 역대 최악으로 악성재고로 쌓이는등 심각한 실적하락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내년은 최악의 경제상황의 한해를 보내게 될 가능성이 높아 내년에 큰 폭의 증시의 하락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이 고 인플레이션 -> 빠른금리인상 -> 경기침체의 사이클로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인플레션이 잡히게 되는 에상년도가 미국기준으로는 2023년도 말부터 3%대로 안정이 될 것 같아서 경기회복과 증시의 완만한 회복은 2024년도 초부터 시작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향후에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 등과 더불어서
투자에 대한 매력도가 커지는 시점이 대세 상승장을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히 금리를 인하하여 바로 상승하는 것이 아닌 금리인하가 지난 이후
경기가 좋아지는 등의 지표가 나와야 할 것이며 그 시점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어도 다음 반감기까지는 기다리셔야 될 수도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다음 반감기 시작은 2024년입니다. 따라서 내년에는 대세 상승장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이고 반등과 하락을 거치며 바닥을 다질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까지 미국 중간선거가 끝난 이후에 미국 증시가 상승하는 산타랠리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올해 12월부터 내년초까지 어느정도의 반등이 있을거라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