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냉철한알파카135
냉철한알파카135

(사진 주의) 염소똥을 자주 눕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28

어릴때부터 변비여서 관장 자주 했었음

평소에 식이섬유 야채류 안먹고

일주일에 4번정도 야식으로 치킨 먹음

운동 안하고 현재 하루 활동량이 매우 적음

물 하루 1리터는 무조건 넘게 먹으려고 노력중

(이건 3-4달 됐음)

유산균 공복에 챙겨먹음(이것도 2-3달 정도 됐음)


다 변비 원인인거는 알고 있는데

1-2년 사이 염소똥을 자주 눕니다

바나나도 눴다가

끊긴 바나나덩이도 누거나

단단하고 수분없는 듯한 작은 여러덩이 합춰진것도 눠요.


질문은

1. 이런변을 계속 눠도 되는건지?


2. 차전자피 한동안 먹다가

배가 너무 부르고 과식처럼 통증이 있어서

멈췄다가

오늘부터 다시 먹기 시작했는데요.


오히려 변비 있는 사람들은

수분을 더 뺐어가서

역효과 라는데 물만 많이 먹으면 상관 없을까요?

3. 경련성 변비는 조각난 변으로 눈다던데

제가 지금 경련성 변비인가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1. 말씀하신 염소똥을 자주 누는 부분은 정상적인 배변으로 보기는 조금 어려우며 변비로 인하여 변이 연속적으로 나오지 못하고 굳은 상태로 나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는 이전부터 있으셨던 변비 증상으로 인한 연장선상의 증상으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2. 보통 차전자피의 경우에는 수분을 잘 섭취를 하신다면 배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현재 하루에 1~2L의 물은 매일 드시려고 하신다는 것으로 보아 당장에 안좋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추후 수분을 뻇어가서 장 내부를 딱딱하게 만들 가능성은 있습니다.

    3. 경련성 변비를 명확히 구분짓기는 어렵기는 하나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받을 떄 특히 증상이 심해지며 변을 봐도 변이 남아 있는 느낌이라던가 가스가 자주 차서 복통이 유발되는 경우에는 경련성 변비를 생각해 봐야 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변비 치료제 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에 대하여는 내과에 방문하셔서 의사의 진찰 및 검사 후에 진단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문자님의 쾌유를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사실 흔히 말하는 '염소똥'은 변비 가진 환자들이 자주 보는 변으로 크기가 보여주신 사진보다 더 작습니다.

    변이 단단하고 조각조각 나오는 증상은 여러 가지 변비 유형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이런 단단하고 잘 뭉쳐지지 않는 변은 변비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식이섬유가 부족하고 활동량이 적은 생활 습관은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으며, 현재의 식습관과 생활 패턴이 변의 상태에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커요. 하지만 변이 계속해서 이 상태로 나오는 것 자체가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변비가 지속되면 장 건강에 부담을 주고, 더 심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합니다.

    차전자피는 변비 치료에 일반적으로 좋은 효과가 있지만,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면 복부 팽만감이나 과식처럼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차전자피는 수분을 흡수하여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충분한 수분 섭취가 동반되지 않으면 오히려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구요. 따라서 차전자피를 복용하는 동안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고, 과도한 양을 피하면서 차전자피를 서서히 늘려가는 방식으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급격한 양 증가나 수분 부족은 오히려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죠

    경련성 변비는 대개 배의 경련과 함께 통증이 동반되며, 변이 조각조각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변이 단단하고 여러 덩어리로 나오는 것은 경련성 변비와 비슷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련성 변비는 보통 복통, 급한 배변욕구, 배의 경련이 동반되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지 파악해야 하고 만일 이런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의 원인이 복합적일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식습관 개선, 운동 증가, 수분 섭취 증가, 그리고 필요한 경우 약물 치료를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