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프리미엄(코인/금)이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예전에는 국내 거래소에 테더도 없었고 거래소간 이동해서 옮기는게 지금처럼 쉽지 않아서 김프가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도 않은데 김프가 지속되는게 궁금합니다. 금도 김프가 있다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해당 자산에 수요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달러표시로 되어 있는 코인/금이 우리나라 환율이 급등하여 김치프리미엄이 원화로
표시되어 있어서 문제입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원화의 가치가 실시간으로 녹고 있고 이는 자연스레 김치프리미엄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프리미엄은 국내의 높은 코인 수요와 함께 정부의 자본이동 규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국내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유발하여 보다 높은 가격에 자산이 거래되는 결과를 유발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인들의 코인 투자 선호 현상이 강해서 김치 프리미엄이 생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7~8년 전만해도 김치프리미엄이 거의 100%에 가까운 극단적인 사례도 있어서 해외에서 코인을 사서 국내 반입 후 국내 거래소에 매각하는 사업이 횡행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요 거래소로 시장이 재편 되고 트레블 룰이 적용되면서 김치 프리미엄의 크기는 줄었고 단기간 해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로벌 코인의 수요와 거래량은 한국 보다는 바이낸스 등 외국 거래소 거래량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김치 프리미엄이 큰 종목 투자는 삼가하시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금은 기본적으로 국내에서 공급이 안됩니다 이로인해서 수입시 관세가 기본적으로 3.3프로가 부과되며 이 금을 유통하고 보관하는 비용 거기다가 매입시 매도시 호가스프레드가 적용해서 국내금이 프리미엄이 당연히 붙게 되는것입니다
코인 김치프리미엄은 상대적으로 한국시장에서 거래량이 규모대비 매우 많고 상대적인 투기수요가 많다보니 2016년부터 지금까지 오랜기간 발생하였가 특히 시장가격이 변동성이 클때 괴리율이 더 크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김프는 한국 시장의 자본 통제, 거래소 간 송금 지연, 투자 수요 불균형이 생깁니다. 해외보다 국내에서 코인 매수세가 강하면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됩니다. 금의 경우도 국내 수입 비용, 환율, 세금 등의 차이로 비슷한 프리미엄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프리미엄은 한국의 가상화폐 거래소 가격이 해외보다 높아지는 현상인데요.
보통 이런 김치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한국 거래소이 수요 공급 의 차이, 국내 투자 심리, 환율의 변동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최근 환율이 급등하면서 이런 차이가 김치프리미엄, 역프리미엄이 두드러지게 발생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도 김프(김치 프리미엄)가 계속되는 이유는 국내 시장의 높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코인의 경우, 외국 거래소와의 자유로운 자본 이동이나 차익 거래가 여러 규제나 절차 때문에 쉽지 않아서 해외에서 싼 가격에 사 와서 국내에서 비싸게 팔아 차익을 보려고 해도 이 과정이 막혀있거나 비용이 많이 들어서 쉽게 가격 차이를 없애지 못하는 것입니다.
금도 마찬가지인데, 국제 금 시세와는 별개로 국내에서 금 투자 수요가 갑자기 늘어나면 한국거래소 금 시장의 유동성이 그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게 돼서 국내 가격이 국제 시세보다 비싸지는 '김치 프리미엄'이 생기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김프가 생기는 이유는 그만큼 해당되는 종목에 대한 믿음이 더 커서 자금을 투입해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해외에는 다양한 거래소가 있어 자금이 밀집되어 오르지 못하지만 한국에서는 대표 가상화폐거래소나 금거래소가 있어 이부분은 자금리 몰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시장이 비슷한크기라면 자금의 유입이 분산될수 있다고 보여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치프리미엄은 결국 국내 수요가 해외보다 과열될 때 생깁니다. 코인이나 금 둘 다 비슷한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해외보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매수세를 강하게 몰릴 때, 거래소 간 송금이나 환전 과정이 막혀 있으면 가격 차이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지금은 테더 전송이 훨씬 편해졌지만, 여전히 원화 기반 거래 비중이 높고 환율 변동도 커서 완전히 균형 잡히기가 어렵습니다. 금도 비슷합니다. 국내는 수입 단계에서 관세, 부가세, 물류비가 붙기 때문에 국제 시세보다 자연스럽게 비싸질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