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뽀로로
뽀로로23.07.28

소아비만의 진단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요즘에는 어른들 비만 말고도 소아비만도 조심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보통 아이들이 통통하면 키로 간다는 말도 있는데 소아비만의 진단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의 문제점은 아이들이 정서적인 스트레스와 소아 우울증, 행동장애 등이 나타나며

    고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이상 등 합병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소아비만은 어릴 때 바로 치료를 하는 게 좋습니다.

    소아 비만을 예방하려면, 올바른 식습관과,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으로 잘못된 생활 습관에 변화를 주는 게 중요합니다.

    밀가루나 탄산, 아이스크림 등 단 음식을 피하셔야 하고,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이세요

    아이의 체중이 정상 체중보다 너무 많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 시기별로 평균 키와 체중이 백분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식습관과 운동이 필요합니다.

    간식 등을 최대한 적게 주시고 줄넘기나 트렘플린 등의 아이들이 좋아하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주시면 아이 비만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의학적으로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까지의 연령대에서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보다 20% 이상일 때를 소아비만이라고 칭합니다.


    유아기의 비만은 첫돌이 지난 다음 유아의 움직임과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소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일부는 비만이 지속되기도 하고, 일단 정상으로 돌아갔다가 학령기에 재발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소아비만의 75~80%가 성인비만으로 이행된다. 뿐만 아니라, 성장호르몬 분비를 저해하여, 특히 여자아이들의 경우 사춘기를 앞당겨 성장 가능 시기를 단축시킴으로써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이 나타나기 쉬운 학령기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 비만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은 표준체중기준 20프로이상이면경도50아래면중도 50넘으면 고도로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장 발달의 표준치에서 상위 95%가 넘는다면 소아비만으로 볼수있습니다

    몸무게를 체크해보시면서 이러한점을 조절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 비만도는 성별, 연령별, 신장별, 체중 50 백분위수를 표준 체중으로 비만도를 계산하여 20%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 합니다.

    신장과 성별에 비교한 체중이 95 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 입니다.

    주요 진단 기준은 아동의 체질량 지수(BMI)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BMI는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아동의 체중과 신장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은요

    체질량 지수를 계산하게 되요

    이것을 성장 곡선과 비교해서 85~94.9백분위수는 과체중,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25 이상이면 비만이라고 봐요

    6세 미만에서는 95백분위수 이상을 과체중이라고 말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비만의 진단은 체질량 지수를 계산하고, 성장 곡선과 비교해서 85~94.9백분위수는 과체중,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6세 미만에서는 95백분위수 이상을 과체중이라고 정의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돌 이후에도 체중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소아과에서 진찰을 통해서 진단이 내려지는 것 같습니다.

    소아 비만의 원인은 많은 음식 섭취와 운동 부족,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