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기도민1123
경기도민112322.10.17

우리나라의 감세정책은 환율에 영향을 미치나요?

얼마전 영국총리가 감세정책을 했다가 파운드화가 요동쳤다는 뉴스를 봤고 결국 영국에서 일부 감세안을 철회함으로써 파운드화가 안정됐다고 들었습니다.

우리나라도 감세정책을 내놓았는데 현재의 환율과 연관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감세 정책은 환율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관한 문제인데요.

    영국 정부가 50년 만에 최대 폭 감세 정책을 발표한 것이 영국의 금융 시장에 어떤 시그널로 받아들여졌는지가 중요하다는 부분이에요. 영국 정부는 감세정책 펴서 경제 활성화를 하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발표한 것인데요,

    영국의 금융 시장 주체들의 경우, "아니 지금 국가 재정도 좋지도 않으면서, 세계적인 불황인데 감세를 하고 있어? 세금 안거둬들이면 국가 부채는 어떻게 감당할거야? 도대체 정부가 생각이 있는거야? 지금 다 죽게 생겼는데 고소득자들만 감세해주겠다고?" 라고 인식하게 된거죠.

    그래서 뿔난 금융주체들은 영국정부의 금융 건전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파운드화를 투매하게 되었고, 달러화 대비 가치가 폭락하게 된 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감세정책의 경우 정부의 수입이 줄어 들게 되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는 등의 확장정책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파운드화의 가치가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따라서 단정적으로 말씀드릴수는 없지만 우리나라의 감세정책도 시장의 환율을 자극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영국의 감세정책 기조는 기존 보다 돈을 더 풀겠다는 의미로 코로나 시기와 비슷하게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을 펼치는 것으로

      화폐의 공급량이 늘어나 파운드화의 약세를 이끌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감세정책을 내놓는다고 하여도 기본적으로 긴축정책을 사용하고 금리를 인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영국과는

      다른영향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지금 상황에서 영국처럼 돈을 공격적으로 푼다면 환율은 지금보다 더욱 폭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감세정책과 같은 경우 대표적인 경기부양책입니다.

    아무래도 시중의 통화를 회수하는 효과가 없고 현재와 같은 인플레이션이

    과도한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을 더욱 아고하시킬 가능성도 있는 등

    이에 따라서 대규모 감세정책은 환율을 급등시킬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감세정책은 정부가 회수해야 할 유동성을 시중에 그대로 두는 것이라 확대재정 정책에 해당합니다. 이럴 경우 환율은 상승 즉,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최근 영국이 감세정책을 글로벌 추세와 달리 추진하다 철회한 바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