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에게 억울한 일을 당해도 웃어넘기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이입니다 .아이가 친구들에게 억울한 일을 당해도 웃어넘기고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감정을 솔직하게 나누는 시간을 가지세요. 억울함을 느낄 때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친구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이러할때의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물어보는것이 좋으며
불편함이 있다면 이러한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법을알려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본인이 그러한 민감성이 떨어져서 웃어 넘기는 건지, 아니면 속으로는 속상하고 억울한 마음을 느끼지만 여러 이유로 (이후의 관계, 말할 용기가 없음 등) 웃어 넘기는 건지 일단은 구분해서 이유를 알아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어느 쪽이든, 본인이 억울한 일을 당하면 제대로 억울함을 표현해야 한다고 지도는 해야 하지만, 접근 방법이 달라지니까요.
전자의 경우, 본인이 민감성이 낮은 거라면 어느 정도는 그대로 두어도 되지만, 그렇게 하면 다른 사람이 만만하게 볼 수 있으니 어느 정도의 선을 정해서 단호하게 이야기하는 게 필요하다고 해야 하고요. 후자의 경우, 본인도 억울함을 느끼지만 말을 못하는 것이니 그러한 경우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배우고 연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이가 친구들에게 억울한 일을 당해도 웃어넘기고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면, 자기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사회적 관계에서 감정 관리와 자기 표현의 방법을 배우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감정을 억누르거나 잘못된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후에 심리적 스트레스나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아이가 건강한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자기 권리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이에게 건강한 감정 표현과 자기 주장의 중요성을 가르치는 것은 시간이 걸리지만, 일관된 지원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아이는 점차 자기 감정을 존중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면, 미래의 사회적 관계에서도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친구에게 억울한 일을 당해도 웃어넘기는 아이는 이렇게 도와줘보세용.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감정을 표현하는 법과 자기 주장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작은 일부터 연습하며 자신감을 키워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먼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그 일이 너에게 불편하거나 속상했을 거야 억울한 기분이 들었을 때 어떻게하면 좋을까?"와 같이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면서 말해주세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을 인정하고 말로표현하는 연습을 통해서 아이는 억울한 상황에서도 다른 방식으로 감정을 풀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친구와의 관계를 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억울한 사오항에서도 감정을 풀고 친구와 다시 좋은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억울한 일이 있었더라도 친구에게 솔직하게 말하면서 다시 잘 지내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해"라고 말해주세요 아이는 이렇게 배운 방법을 통해서 자신감을 갖고 친구 관게에서 긍정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안불편해서그럴수있으니
불편하지않고그냥웃어넘기는거면크게신경쓰지않아도좋을수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