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카디오 리핀이 수소이온에 막 투과성을 억제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막에 카디오 리핀이 있어서 수소이온에 투과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던데 그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처럼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경우 각각 내막과 틸라코이드막에 카디오리핀을 가지고 있습니다. 카디오리핀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막 같은 특수 막에 존재하는 인지질로, 막의 수소이온(H⁺) 투과성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우선 카디오리핀은 네 개의 지방산 사슬을 가진 인지질로, 일반적인 인지질보다 훨씬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머리 부분이 강하게 음전하를 띤 인산기 두 개로 되어 있고, 이러한 독특한 구조가 막에서 더 치밀하고 안정적인 지질 이중층을 형성하게 됩니다. 또한 카디오리핀의 머리 부분은 음전하가 강해 수소이온(H⁺)과 쉽게 결합하며, 이때 수소이온은 단순히 결합-해리되면서 막을 자유롭게 통과하지 못하고 머리 그룹 근처에서 ‘가둬진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네 개의 지방산 사슬 덕분에 막 내에서 카디오리핀이 다른 지질과 강한 상호작용을 하며 막 유동성을 줄이고, 더욱 두껍고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즉 카디오리핀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호흡효소 복합체(I, III, IV, ATP 합성효소)에 결합해 안정화시키며, 이로 인해 수소이온은 효소 단백질이 만든 경로(프로톤 펌프)를 통해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무분별한 확산 억제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이중 인지질 덕분입니다. 이 분자는 수소 이온의 투과를 억제하는 데 싱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카디오리핀은 인산 머리 그룹을 두 개 가지고 있어 강한 음전하를 띱니다.

    이 음전하 때문에 카디오리핀은 양전하를 띠는 수소 이온을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겨 분자 내에 가두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수소 이온이 막을 자유롭게 통과하지 못하게 만들죠.

    그리고 카디오리핀은 특이하게 네 개의 지방산 사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인지질이 두 개의 사슬을 가지는 것과 달리, 카디오리핀의 이 복잡한 구조는 막의 유동성을 낮춰 막을 더 단단하고 촘촘하게 만드는데, 이로 인해 수소 이온을 포함한 작은 분자들이 막을 통과하기 더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카디오리핀은 막의 특정 단백질들과 결합하여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복합체는 특히 전자 전달 사슬에 관여하는 효소들 주변에 집중되어 막의 특정 부위에서 수소 이온의 누출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카디오라핀은 인지질 중에서 인산기가 두개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있어서 막의 음전하 밀도가 높습니다.

    그래서 수소이온이 지질층을 직접 통과하지못하고 막표면에서 전기적으로 붙잡히게되고, 막의 패킬을 조밀하게 만들어서 소수성 코어의 누수통로 형성을 억제하게됩니다.

    즉, 전기적인 반발과 구조 안정화 두가지 효과를통해서

    수소이온의 비특이적인 확산을 막아줍니다.

    감사합니다.

  • 카디오리핀은 인지질 분자 두 개가 연결된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른 인지질에 비해 더 넓고 밀도가 높은 막 구조를 형성하여 수소 이온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 카디오리핀의 특이한 구조는 미토콘드리아 내막과 엽록체 틸라코이드 막에서 수소 이온 농도 기울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중 구조의 카디오리핀은 막의 안정성을 높여 수소 이온이 막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