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라는 무엇 때문에 생기는 것인지 알고 싶어요?
아침에 TV를 보는데 오로라가 나오는데 정말 아름답고 이쁘네요.이런 오로라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이며 어떤 원리로 생기는지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 자기장과 태양풍에서 나오는 전자, 양성자 등의 입자들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은 전자, 양성자 등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 자기장은 이러한 입자들을 지구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지구 자기장과 태양풍의 입자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지구 대기권의 고도가 높은 곳에서는 이러한 입자들이 북극권과 남극권 주변으로 유입되어 대기권의 분자들과 부딪치면서 발광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 분자들이 빛을 발하면서 오로라가 형성되며, 붉은색, 노란색, 초록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납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이 가장 강한 북극권에서 가장 잘 관측되며, 겨울철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와 마찰하여 빛을 내는 광전 현상입니다.
이런 플라즈마 입자는 주로 태양에서 방출된 것인데, 태양풍을 따라 지구로 불어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극지방의 대기로 진입하게 됩니다.
그리고 오로라는 지상에서 90~250km 상공에서 대기의 입자와 반응하며 거대한 커튼처럼 펼쳐지는 모양을 하며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과 충돌하면서 발생합니다 태양풍이 지구로 향하면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 입자들을 흡수하게 되며 이 입자들은 지구의 극지방에서 빛으로 발산하게 됩니다 이를 오로라라 합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 지구로 유입되는 하전 입자들이 고층대기의 기체들과 충돌하여 빛을 내는 현상이다. 지구 자기력선을 따라 대기로 낙하하는 하전 입자들이 대기 중 원자 혹은 분자들과 충돌하면 이들이 들뜬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들뜬 기체들이 원래의 바닥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남반구와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서 주로 나타나며 각각 남극광 또는 북극광이라 부르기도 한다. 오로라는 고도 10km부터 320km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자극을 중심으로 약 20도 떨어진 위도 대에 주로 분포한다.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는 남쪽으로 치우쳐 오로라가 분포한다. 오로라는 지구뿐만 아니라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서도 흔히 관측된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하전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에 의해 이끌리고, 특히 자기장이 강한 극지방쪽으로 몰려들며 지구의 입자들과 부딪혀 빛을 발산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어 지구에서 그렇게 여지게 되는 것입니다.
태양의 폭발 시 작은입자들이 태양에서 부는 바람이 지구까지 이동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 여기서 입자는 자석의 힘을 가진 전자와 비슷한 물질
→ 지구가 큰 자석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태양에서 자력을 가진 물질들이 남극 북극으로 모이게 됩니다.
→ 모일때 엄청난 속도로 지구대기권으로 들어와 공기와 부딪히면서 빛으로 변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