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으로 국제유가가 4%나 급등했는데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이 있나요?
그동안도 고유가로 인해 모든 물가가 고공 행진 중에 있었는데 엎친데덮친다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으로 국제유가가 4%나 급등했습니다. 이러한 것들이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는 원유의 대부분을
수입하여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은 결국 국제 유가 문제이고, 이란이 가담하지 않았다면 이번 사태의 영향은 단기적으로 그칠 수 있다"면서도 "이스라엘이 이번 사태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해 공격하면 국제 유가가 급등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서 연구원은 "관련 증거가 나올 경우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가 불가피한 데, 이 경우 하루 200만 배럴 규모인 이란의 수출이 중단될 수 있어 국제유가 급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이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연준의 강경한 긴축 기조가 확대될 수 있으며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하여 유가가 급등하게 되면서 모든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어요. 특히나 미국의 인플레이션 재상승으로 인해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해질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그럼 우리나라는 그동안 금리를 억지로 눌렀던 것에서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놓이게 되면서 국내의 부채 위기가 크게 격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석유를 원료로 하는 경제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유가가 급등하면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