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에 위정척사파는 언제 등장하고 어떤 사상을 기반으로 했나요?
구한말에 의병투쟁의 한 축을 담당했던 위정척사파는 언제부터 등장을 했으며 어떤 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나요?
이들의 퓡가에서 부정적인 면은 어떤 점이 있었나요?
위정척사 운동은 개항과 개화 정책에 반발하여 유생중심으로 전개한 구국 민족 운동입니다. 위정척사는 '바른 것은 지키고, 사악한 것을 배척한다'는 것으로 조선의 유교정신은 수호하며, 서양의 기독교와 같은 문물은 배척한다는 것입니다. 위정척사는 1860년대 열강의 통상의 요구에 반대하며 통상반대와 척화주전을 주장하였습니다. 이후 1870년대 개항반대, 1880년 개화반대, 그리고 1890년대 항일의병 운동으로 이어집니다.
위정척사 운동은 개화 정책 추진의 장애가 되었지만 열강의 침략을 통찰하였으며, 항일 의병 운동으로 발전하였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파는 전통 유교 질서를 수호하고 서구 문물의 유입을 철저히 배격하려는 정치 세력으로, 위정척사(衛正斥邪)란 바른 것을 지키고 사악한 것을 배척한다는 뜻입니다. 이들은 조선의 전통적인 가치와 문화를 지키기 위해 서양 문물을 철저히 거부하였습니다.
위정척사파는 성리학적 가치관을 기반으로 서양 문물을 사악한 것으로 간주하고 배척하였습니다. 이들은 조선의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서양 세력에 맞서 싸웠으며, 특히 일본의 침략에도 강력히 저항하였습니다. 또한, 위정척사파는 동도서기(東道西器)라는 사상을 주장하며, 동양의 도(道)를 지키되 서양의 기(器)는 도입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세우기도 했습니다.
위정척사파는 조선 후기의 혼란한 정세 속에서 전통적인 가치와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적응하지 못하고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이들은 서구 문물의 도입을 반대함으로써 조선의 근대화에 걸림돌이 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