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우치하나루토
우치하나루토23.08.04

요즘 10대 20대 강력범죄는 유아기 아동 유년기의 어떤것이 문제가 되는건가요

요즘 10대 20대 강력범죄는 유아기 아동 유년기의 어떤것이 문제가 되는건가요

동시다발적으로 나오는 중학 고교생의 칼부림 집단폭행 린치 난리도 아닙니다

이 10대 20대들의 부모는 40대들이 보통이겠죠

인과응보, 뭐든 원인이 있을겁니다

최소한 이런 숭악한 사람으로 크지않으려면 어떤 교육이 안전장치가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정에서 아이들이 어릴 때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지나친 체벌이나 처벌을 하는 경우,

    또한 형제간의 다툼에서 자주 맞거나, 때리는 행동을 자주 경험했을 경우엔, 성인이 되서 폭력적인 행동이 습관화 될 수 있으니 항상 부모님께서 올바른 성격형성을 위해서 지도를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폭력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가정에서

    상대방을 존중하고 항상 상대방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를 하셔야 합니다.

    어릴 때 환경적인 영향으로 가정 안에서 부모 또는 형제의 모습에서 때리는 행동을 모방할 수 있으니, 어릴 적 가정 환경이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5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품행장애와 연관이 많습니다. 유전적 요인의 표현을 환경적 요인이 조절하는 것이죠. 유전적 요인으로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성향을 타고 날 수 있는데 여기에 부모의 방임, 폭력적 가정환경, 비슷한 성향이 있는 친구들 등의 환경적 요인이 더해지면 촉발 인자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문제를 함께 일으키는 어울리는 무리가 있다면 분리부터 해야 합니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은 칭찬 등 보상을 하고 그렇지 않은 행동은 타임아웃, 권리 박탈과 같은 제재를 해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하는게 좋습니다. 규칙을 정할 때는 부모가 일방적으로 정하지 말고 상호 타협을 하는 것이 필요하구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위험하고도를 넘는행동을하는것은 한계를정하지않는것이큽니다

    안되는것에대해서는 단호하게한계훈육해줄필요가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시절에 정서적 학대나

    아니면 방치 등을 당한 아이들이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요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어린시절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어린시절 과도한 스트레스에 쌓이게 되고

    불안감이나 정서적 학대가 이루어진 경우 아이가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없는 등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유소년기 부모님과의 충분한 소통과 교감

    정서적 안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직금의 칼부림 사태가 유소년이 특정 경험이나 교육과 연결짓기에 조금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으로 협의점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아이를 사랑으로 보살펴 주시는 것입니다.

    또한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 소중히 여겨지시는 것입니다.

    더나아가 아이의 마음을 이해고 감정을 공감해 주시는 것 또한 아이를 양육하면서 좋은 교육방법 입니다.

    한가지 더 중요한 교육은 인성교육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인성교육의 기본 목표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며 그와 더불어 상대의 감정을 공감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범죄행동줄이는것은

    1.잘못에대해서는 강하고단호한훈육

    2.아이의대한애착과지지를자주하기

    해주면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