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 발행하려면 그 금액만큼 100% 보유해야 하나요?
스테이블 코인은 발행사에서 발행량에 비례하여 담보를 잡아놓고 발행하는 것이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이것을 100%만큼 담보잡는 것인지 그 이하로 잡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스테이블 코인 발행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말씀대로 스테이블 코인은 담보를 잡은 달러화 수량 만큼 발행하게 됩니다.
즉, 100만 코인을 발행하려면 100만 달러가 필요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 발행생을 위해 담보를 100% 해야하는것이 원칙이지만 이를 지키지 않고 운영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이는 추후에 문제가 되었을때 담보를 보장받짗못하는 문제가 있어 투자자들이 이러한 부분에 대해 유의해야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발행사에서 발행량에 비례해서 담보를 잡는 게 스테이블 코인의 기본 원리인데, 원칙적으로는 1코인당 1달러처럼 100%에 맞춰 담보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스테이블 코인 종류나 발행사의 정책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데 일부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은 시장 변동성에 대비해서 100%보다 더 많은 담보(과담보)를 잡는 경우도 있습니다.(반대 상황도 있죠.)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려면 그 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과거 금본위제와 같이 스테이블코인 가치와 동일한 규모의 자산을 100% 보유해야 가능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100% 보유하여도 스테이블 코인이 실제 화폐가치와 동일하게 유지되긴 어렵기에
국가에서 이를 규제하려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은 기준을 잡는 통화가 있어야 합니다.
해당 스테이블 코인의 신뢰성과 안정성에 대한 담보로 법정 통화가 1:1 준비금이 있어야 하는것이죠.
맘대로 발행하면 금융시장의 혼란과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금융당국의 승인을 위해 최소 50억원이상의 준비금이 있어야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미국의 지니어트액트법하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량만큼 준비자산을 100%보유하여야 합니다. 다만 이에 대한 실사감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앞으로 미국의 지니어트액트법안에선 월마다 실사를 해야하며 3년 유예기간을 두었습니다.
다만 테더사는 연간 1회로 자체 회계법인을 감사를 두고 있고 실제 자산을 100%이상을 보유한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서클사도 준비자산을 발행량의 100%이상을 보유하고 있고 특히 90일만기 이하의 달러자산으로 보유하여 사실상 이미 완벽하게 대비한상황이며, 테더사는 미국채비중은 60~70%정도이며 나머지는 비트코인이나 주식등 여러 자산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법정 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은 발행량의 100%에 해당하는 자산을 보유해야 합니다. 다만 일부 프로젝트는 준비금 일부를 채권, 예금, 현금성 자산 등으로 분산 보유하기 때문에 실제 담보율이 100% 미만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