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설치류 마멋의 힘겨루기는 어떻게 승부가 나는 건가요?

설치류인 마멋이 싸우는 영상들이

오래전부터 인터넷에서 유명한데

마멋이 싸우는 걸 보면

서로 피를 보면서 싸우는 게 아니라

멱살잡듯이 싸우더군요

신기한 방식인데 마멋의 힘겨루기는

어떤점이 부족할 때 패배를 인정하는 건가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마멋의 힘겨루기는 주로 영역권과 짝짓기 우위를 정하기위한

    의식적인 싸움으로, 실제 상해보다는

    힘과 지구력, 자세유지능력 등이 승패를 가릅니다.

    싸움은 뒷다리로서서 서로를 밀치거나 물면서 균형을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체력소모나 자세붕괴, 기세약화가 드러나면 패배로 간주하고 한쪽이 스스로 물러납니다ㅋㅋ

    즉, 피를 내기보다는 힘과 인내의 상징적 경쟁을 통해서

    서열이 결정되는 행동이고

    불필요한 부상을 피하면서도 사회적인 질서를 유지하는

    생태적인 전략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

    마멋은 설치류 중에서도 사회적 서열과 영역성이 강한 동물로, 싸움보다는 ‘의식적인 힘겨루기’를 통해 우위를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상에서 보신 것처럼 피를 내는 격렬한 싸움보다는, 앞다리로 서로를 밀치거나 일시적으로 멱살을 잡는 듯한 자세로 서서 맞붙는 행동이 특징입니다.

    이런 행동은 지배·복종 관계를 결정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실제 부상을 피하면서 체력과 기세를 평가하기 위한 일종의 경쟁입니다. 주로 수컷 사이에서 영역이나 암컷을 두고 발생하며, 싸움의 핵심은 물리적 상해보다 위협 신호의 강도에 있습니다. 즉, 단순히 힘이 센 개체가 아니라, 오랫동안 균형을 잃지 않고 상대를 밀어내지 않거나 더 크게 울음소리와 이를 드러내는 위협 행동을 지속하는 쪽이 우위를 점합니다. 패배는 대부분 스스로 몸을 낮추거나 등을 돌릴 때 인정됩니다. 이때 상대방은 즉시 공격을 멈추고 승리를 과시하는 ‘승리 포즈’를 취합니다. 마멋은 사회적 신호 체계가 뚜렷하기 때문에, 일단 패배를 인정한 개체에 대해 지속적인 공격은 드물고, 다음 번 대면 시에도 이전 서열이 일정 기간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있으신 경우 댓글 적어주세요.

    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 마멋의 힘겨루기는 주로 영역이나 짝짓기를 두고 발생하며, 상대방을 물거나 넘어뜨리는 격렬한 몸싸움으로 진행되는데, 명확하게 패배를 인정하는 순간보다는 상대방에게서 벗어나 도망치거나, 더 이상 싸움에 응하지 않고 굴로 피신하는 등의 회피 행동을 보일 때 실질적인 승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우리가 흔히 보는 마멋의 멱살잡이 싸움은 대부분 놀이 싸움 또는 힘 확인을 위한 의례적인 행동입니다.

    이러한 힘겨루기는 상대를 다치게 하기보다 서열을 확인하고 사회성을 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죠.

    그 경우 한 마멋이 다른 마멋을 완전히 넘어뜨리거나, 바닥에 굴복시키는 자세를 취할 때 패배가 결정됩니다. 또한 제압당한 마멋은 싸움을 중단하고 몸을 낮추거나 도망가는 등의 항복 행동을 통해 패배를 인정하기도 하고, 체력이 먼저 소진되어 더 이상 저항할 수 없을 때 싸움을 포기하고 물러나기도 합니다.

    다만, 실제 영역 다툼이나 번식 경쟁 시에는 매우 공격적으로 변하는데, 이 경우엔 상대의 도주 또는 심각하게 부상을 입어 더이상 싸울 수 없는 상태가 패배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