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8.08

장보고가 신라로 돌아간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장보고는 신라의 골품제 때문에 출세를 위해 당나라로 넘어갔었는데요.

당나라에서 군인으로서도 성공하고 이후 해상무역으로도 성공했는데

다시 신분의 한계가 있는 신라로 돌아간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찍이 당나라 서주(徐州)에 건너가 무령군소장(武寧君小將)이 되었으나
    신라에서 잡혀온 노비의 비참한 처우에 분개하여 사직하고 귀국했다.

    [출처] 장보고 [張保皐 ] | 네이버 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보고(張保皐)는 중국 후한(後漢) 시대의 군사 지도자로, 신라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가 신라로 돌아간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신라와의 동맹 강화: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초반까지, 신라와 후한(後漢) 사이에는 외교적 교류와 동맹 관계가 형성되었습니다. 이 동맹은 신라가 후한과 더 강력한 대외 관계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정치와 국제적 신뢰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장보고는 이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라 내정 지원: 신라는 후한과의 동맹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안정성을 얻었지만, 그만큼 내부적으로도 국가 안정을 유지해야 했습니다. 신라는 장보고와 같은 후한의 군사 지원을 받아 신라의 국력을 강화하고 국내 정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결국 장보고는 신라와 후한 사이의 동맹과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신라로 돌아간 것으로 보이며, 그의 활동은 신라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가 귀국해서 신라로 돌아온 이유는 중국에서 그렇게 입지를 굳히지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해안지역 출신으로 바다에 익숙했던 장보고는 이러한 해상무역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더불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그 무렵 당나라나 신라 모두 중앙 집권력이 느슨해져 흉년과 기근이 들면 각지에서 도적이 횡행하였고, 바다에서도 해적이 신라 해안에 출몰해 많은 주민들을 잡아가서 중국에 노예로 팔았으며 무역선도 해적의 위협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보고는 해적들이 신라인을 잡아가는 것에 대해 분노했고, 국제무역에 대한 강렬한 욕망을 가졌으며, 스스로 해상권을 통괄해 독자적인 세력을 키워볼 야망을 불태웠습니다. 그러던 그가 중국에서 크게 입신하지 못하자 마침내 828년(흥덕왕 3) 귀국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보고가 신라로 돌아온 이유는 여러 추측이 있는데 장보고가 당에서 귀국해 흥덕왕을 만나 신라인이 당에서 해적들에게 잡혀 노비로 매매되고 있었다 고 문제를 제기, 장보고 설치한 청해진의 이름을 감안하면 같은 신라인들이 노비로 팔려가는데 차마 혼자 호의호식 할수 없어서가 1차 이유, 함께 당에 갔던 친구 정연은 당에 남았는데 훗날 정연이 당의 군축 조치로 실직해 끼니 조차 잇기 어려울 정도로 몰락한 후에도 장보고에게 의지하기를 망설였다는 기록을 보면 장보고가 무관을 그만 둔 일이 정연과 관련있다고 추측할수는 있으는 정확한 사정은 알수 없습니다.

    이 시기 장보고에 대한 기록이 부족해 행적을 알기 힘드나 엔닌의 기록을 볼때 신라방 신라인 사회를 이용해 상업에 뛰어들어 국제 무역에 종사했고 당나라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이며 당시 중국 해안 지역은 이사도와 같은 번진들의 발호로 당나라 조정에서 통제하기 못하고 있어 신라인들까지 잡아 노비로 파는 해적들이 많았습니다.

    기록대로 단순히 이들이 동족인 신라인을 노비로 팔아넘기는 것을 볼수 없어 도의적인 이유가 아니어도 장보고로서는 해적 때문에 바다를 통해 오가던 해상교역까지 위협을 받게 되며 장사에도 차질이 생긴다는 상인으로서의 실제적인 계산 때문이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