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영국 다리 공명으로 부러진 사태?

예전에 어느 방송에서 봤던 얘기인데요.

영국다리가 여러사람들이 건너는것을 보던중 resonance가 일어나 사람들의 발박자가 맞춰져 원래는 100명이 건널수 있는 다리가 50명이 건너는데 공진상태로 인해 무너질뻔한 일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사람들은 저마다 각 개체인데 공명상태가 갑자기 일어나 발박자가 맞춰져 지탱해주고 있는 물체에 더큰 압력을 주는 사태가 벌어진 것은 어떤이유에서 인가요? 과학적으로 이해하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영국 다리가 여러 사람의 발걸음으로 인해 공진 현상을

      일으켜 무너질 뻔했다는 이야기는 과학적으로 가능한 사건입니다.

      공진은 두 물체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다리와 같은 구조물은 고유 진동수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발걸음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다리를 건너고 발걸음의

      주기가 다리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게 되면 공진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다리에 가해지는 힘이 증폭되어 다리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영국 다리 사건의 경우 다리의 구조 사람들의 수 발걸음의 주기 등

      여러 요인이 공진 현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리의 설계 단계에서 공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예상보다

      많은 사람들이 다리를 건너거나 사람들의 발걸음이 우연히 일치했을 수도 있습니다.

      다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진 가능성을 사전에

      검토하고 공진 발생 시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다리를 건너는 사람들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거나 발걸음을 맞추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영국 다리 사건은 공진 현상이 실제로 일어나

      다리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다리의 안전을 위해서는 공진 가능성을 사전에 검토하고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영국의 밀레니엄 다리 사건은 공명 현상으로 인한 현상입니다. 공명은 물체가 특정 주파수의 외부 힘에 의해 진동을 증폭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리를 건너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특정 주파수로 일정하게 맞추어지면, 다리의 고유진동수와 공명 현상이 발생하여 다리가 더 큰 진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의 진동이나 사람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다리의 상판에 부딪히면서 진동을 일으켰고, 진동은 점점 커지며 공진 현상으로 발전합니다 이로 인해 다리의 상판은 점점 더 흔들림이 커짐으로 붕괴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