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기가25개월인데 말이늦어요. 근데 특이한점이 있어요

어떤 단어를 따라할때 단어의 첫글자만 말하고 따라해요. 나가자 = 나! 사과 =샤!

키위=ㅋㅣ~~ 바나나 = 바! 이런식으로만 하는데 무슨 문제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신애 유치원 교사
    송신애 유치원 교사
    누리유치원

    25개월 아이의 언어가 늦어지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보통 12~24개월 사이의 아이들은 단어를 완전히 발음하기 어려워서 첫 음절이나 첫 글자만 반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음 능력 미숙, 언어 습득 과정, 인지 발달과 연관 등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부모는 천천히 또박또박 말해주고 반복해서 들려줄 수 있습니다.

    같은 단어를 여러번 반복하면 아이가 전체 단어를 익히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림책이나 노래를 통해 자연스럽게 단어를 익히도록 유도하고 칭찬과 격려해줍니다.

    전문의에 따르면

    18개월까지 단어 발현이 나타나지 않거나 24개월까지 두 단어 연결이 나타나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도록 적극적인 평가를 권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합니다.

    아이는 생후 10~11개월경에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하게 됩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18개월~24개월 사이는 언어 발달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

    18개월에는 10개가량의 단어를 사용하는 정도였다면, 24개월에는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100~200개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런 점을 유심히 살펴보고 언어지연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하는게 좋겠습니다.

    꾸준히 언어적 자극(책읽어주기, 아이와 대화하기)을 주고 격려하며 기다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언어지연으로 인해서 다른사람과의 소통이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언어가 지연이 되는 이유는

    아이가 말이 트일 무렵 적절한 언어자극 제공이 미흡해서 입니다.

    지금 현재 아이에게 필요로 하는 것은 적절한 언어자극 제공 입니다.

    언어자극 제공 방법은 '

    아이에게 매일 꾸준히 책을 읽어주고,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며 질문을 해주면서 아이가 답변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의미는 이해하고 있지만 말로 표현이 어려운 경우 '표현 언어지연'일 수 있습니다. 조기 언어치료가 도움이 될수 있으니 소아청각검사 및 언어발달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5개월 아기의 단어의 첫소리만 내며 따라하는 것은 언어발달과정 중 일부일 수 있지만, 또래에 비해서 말이 늦고 이런 패턴이 지속된다면 언어 지연이나 조음 발달 어려움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25개월 아이가 단어의 첫 글자만 말한다면 이는 말 늦음(언어 지연)이나 조음 발달 지연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소리를 인지하고 이를 흉내내는 능력은 있으나 발화를 조절하거나 표현 언어 능력이 부족한 것일 수 있지요. 이 경우, 가정에서의 연습으로도 어려움이 있거나 지연이 의심된다면 언어치료사와 상담을 받아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게 좋겠습니다.